사회 사회일반

경찰 "중요 내사 사건 지방청 거쳐 국수본 보고"

경찰청, 이용구 사건 후속대책

내사→입건전 조사 명칭 변경

이용구 前 법무부 차관/연합뉴스이용구 前 법무부 차관/연합뉴스




앞으로 일선 경찰서에서 취급하는 중요 내사 사건은 시도 경찰청을 거쳐 경찰청 국가수사본부로 보고돼 지휘를 받게 된다.

경찰청은 9일 이용구 전 법무부 차관의 택시 기사 폭행 사건에 관한 후속 대책을 발표하면서 “사안의 중요성 등을 고려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시도 경찰청이 경찰서로부터 사건을 이관 받아 직접 내사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경찰은 경찰서 수사심사관이 내사 사건의 불입건 적정성 여부를 객관적으로 심사·분석하고, 시도 경찰청 책임수사지도관이 주기적으로 이를 점검해 재수사 필요성을 판단하도록 했다. 또 경찰은 현재 사용 중인 ‘내사’라는 용어를 ‘입건 전 조사’로 바꾸기로 했다. 내사는 수사의 전 단계로 내사 과정에서 범죄 혐의점이 드러나면 수사로 전환된다. 경찰청은 “내사라는 용어가 별다른 통제 없이 은밀하게 조사한다는 오해와 불신을 유발해 개선하기로 했다”며 “앞으로는 내사의 여러 종류 중 ‘첩보 내사’에만 내사라는 용어를 사용하겠다”고 했다.

관련기사



지난해 전체 내사 대상은 158만 1,334건으로 이 가운데 범죄에 관한 정보·소문이 있어 진상을 확인할 필요가 있는 ‘첩보 내사’는 1.3%(2만 457건)에 불과하다.

경찰은 불입건 결정(내사 종결) 사유도 수사 사건처럼 구체화·세분화했다. 지금까지 ‘내사 종결’로만 표시했지만 앞으로는 ‘범죄 혐의 미발견’ ‘정당방위 사유 명백’ ‘반의사불벌죄 합의·시효 만료’ 등으로 분류해 사건 관계인에게 통지한다.

경찰은 이 전 차관 사건의 경우처럼 입건 전 조사 과정에서 최초로 적용한 죄명을 바꾸려는 경우에는 팀장이 아닌 수사부서장이 결재하도록 했다.

/박홍용 기자 prodigy@sedaily.com


박홍용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