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대만=국가' 일본 총리에 중국 "언행 조심해라"

스가 총리, 대만을 국가로 칭해

중국 "강한 불만…언행 신중해라"

스가 요시히데 일본 총리./AP연합뉴스스가 요시히데 일본 총리./AP연합뉴스




스가 요시히데 일본 총리가 대만을 ‘국가’로 지칭하자 중국이 “언행을 조심하라”며 강하게 반발했다.

10일 타이완뉴스 등 대만 현지 언론에 따르면 스가 총리는 전날 집권 자민당 지도부와 만나 호주와 뉴질랜드, 대만의 방역 정책을 언급하며 “이들 3개 국가는 (방역을 위해) 사적 권리를 강력하게 제한한 국가”라고 말했다. 대만을 ‘국가’로 지칭한 것이다.



중국은 즉각 반발했다. 왕원빈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일본 지도자가 대만을 국가로 칭했다”며 “일본의 잘못된 발언에 강한 불만을 표시했다”고 말했다. 이어 “일본이 대만 문제에서 언행에 신중해야 한다”며 “세계에 중국은 오직 하나만 있으며 대만은 중국 영토에서 뗄 수 없는 부분”이라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일본은 1972년 대만과 단교한 이후 대만을 ‘지역’으로 칭하며 중국과의 직접적인 갈등을 피해왔다. 하지만 최근 일본은 ‘대만 문제’를 두고 중국과 충돌하고 있다. 지난 4월 미일 정상회담 후 발표한 공동성명에서 ‘대만해협의 평화와 안정성’을 명기했고, 지난달 유럽연합(EU)과의 정상회담에서도 대만 문제를 지적했다. 지난주에는 대만에 코로나19 백신 124만 회분을 무상 지원하기도 했다.

한편 스가 총리가 참석하는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에서도 대만 문제가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일본 언론에 따르면 G7 정상은 공동성명에 ‘대만 해협의 평화와 안정의 중요성’을 명기하는 것을 추진하고 있다. 이번 G7 회의에는 한국과 호주, 인도, 남아프리카공화국 정상도 참석한다.

중국의 강한 반발이 예상된다. 이날 중국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는 외국의 간섭에 맞서 법적·제도적으로 대항할 근거를 마련하기 위해 ‘반(反)외국제재법’을 통과시켰다. 이에 미국과 유럽연합(EU) 등이 중국 인사나 기업을 제재하면 중국 정부는 제재를 받은 이들이 보복 조치에 나서는 것을 직접 지원할 수 있게 됐다.

/곽윤아 기자 ori@sedaily.com


곽윤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