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2030년 '묻지마 신재생' 청구서 날아온다

우드맥킨지,전기료 24% ↑ 전망

정부 예측 10.9%보다 훨씬 높아

신재생 확대 송배전비용 급증 탓





재생에너지 확대에 따른 원가 부담 상승으로 오는 2030년 전기 요금이 지난해 대비 24%가량 상승할 것이라는 분석이 제기됐다. 정부는 ‘9차 전력계획 공청회’에서 발전비용을 고려해 2030년 전기 요금이 2017년 대비 10.9% 상승할 것으로 내다봤지만 송배전 비용까지 감안하면 전기 요금의 급격한 인상이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된다. 실제 국내 재생에너지 설비의 경우 전력 수요는 적은 반면 송배전 설비는 열악한 전남·충청·강원권에 집중돼 있어 신재생 확대에 따른 송배전 비용이 향후 급증할 것이라는 우려가 꾸준히 나온다.



글로벌 에너지 컨설팅 기업인 우드맥킨지는 15일 온라인 기자간담회를 열고 “재생에너지 확대에 따라 2030년 한국 소비자가 내는 전기료가 2020년 대비 24% 상승할 것”이라고 밝혔다. 우드맥킨지 측은 발전 비용이 높은 재생에너지 비중 확대로 전력비가 늘고 재생에너지의 불안정성 문제 해결을 위한 송배전망 투자 확대로 요금 인상이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했다. 우드맥킨지 측은 “재생에너지 비중이 늘어나면 안정적인 전력 공급을 위해 전력망 자체에 대한 투자가 늘어야 한다”며 “일부 유럽 국가는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이 30%가 되면서 전기료가 2배까지 오르기도 했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우드맥킨지 측은 2030년까지 한국의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이 38%에 달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우드맥킨지는 “한국의 재생에너지 발전에 대한 투자가 지난해 58억 달러에서 2030년까지 연간 89억 달러로 증가하면서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이 2030년 38%로 높아질 것”이라고 분석했다.

다만 정부가 설정한 2030년 전력 부문 온실가스 감축 목표는 ‘탈원전’에 따른 원전 비중 감축 및 화석연료에 대한 높은 의존도 때문에 달성하기 어려울 것으로 전망했다. 우드 맥킨지는 “원전 비중을 낮추는 동시에 석탄·가스 발전 등 화석연료 사용을 충분히 줄이지 못하면서 전력 부문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2030년까지 2억 5,100만 톤으로 2020년 대비 7% 증가할 것”이라며 “한국 정부의 온실가스 배출 목표(2030년까지 1억 9,300만 톤)를 달성하려면 원전 비중을 줄인 부분을 석탄·가스가 아닌 재생에너지로 더 많이 대체하는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세종=양철민 기자 chopin@sedaily.com


세종=양철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