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원격수업 시대의 강자, 사이버대] 4차산업 대비 실무형 인재 양성 주력


코로나 시대에 온라인 원격수업은 대세로 자리잡았다. 언택트 수업은 감염 확산 위험을 최소화하고 자기주도 학습을 실현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방역과 학업의 균형을 이루는 모범 사례로 평가 받는다. 국내 사이버대들은 원격수업의 개척자다. 코로나19가 확산됐을때 존재감을 여지없이 보여줬다. 20여년 전부터 선제적으로 온라인 수업을 도입한 후 노하우를 축적한 덕분에 코로나19사태가 터졌을 때도 큰 기술적 문제없이 수강생들에게 양질의 강의를 제공할 수 있었다.



특히 사이버대는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해 새로운 지식과 기능을 지속적으로 습득해야 하는 평생교육 시대에도 적합한 교육 모델로 꼽힌다. 재학생이 언제 어디서나 온라인으로 학위를 취득할 수 있고 바쁜 일과로 등교시간을 확보하기 어려운 직장인들이 접근하기 쉽기 때문이다. 등록금이 일반 대학보다 저렴하고 다양한 장학금 혜택을 제공하는 것도 장점이다.

관련기사



사이버대들은 각자 특화된 강의와 프로그램으로 4차 산업 시대를 이끌 실무형 인재를 육성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서울사이버대는 로봇산업에 대응하기 위해 올해 미래융합인재학부에 로봇융합전공을 신설했다. 경희사이버대학은 미래 국방 인력 양성을 위해 직업군인·군무원을 위한 맞춤형 전공 강의를 개설했다. 숭실사이버대는 졸업생도 졸업 후 전공 강의를 무료로 들을 수 있는 프로그램을 마련해 평생교육 가치를 구현하는 데 힘쓰고 있다. 한양사이버대는 카운슬링서비스를 통해 학생들이 중도 탈락하지 않고 최적의 조건에서 수업을 이수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주요 사이버대는 이달부터 본격적으로 2학기 신·편입생 모집에 나선다. 신입학의 경우 고등학교 졸업자나 이와 동등한 학력이 인정되면 누구나 응시할 수 있다. 사이버대들은 일반적인 커리큘럼뿐 아니라 교양 및 전문 경영인 과정도 강화해 자기경력 개발을 꿈꾸는 사람들에게 좋은 기회를 제공한다. 원격수업 시대에 더 주목을 받고 있는 주요 사이버대들의 현황과 모집전형을 살펴본다.

/한동훈 기자 hooni@sedaily.com


한동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