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1주일간 변이 감염 261명↑…누적 2225명, 델타형은 190명

국내감염 227명·해외유입 34명 "지역감염 확산 우려"

변이 집단감염 확진자 총 280명…검출률 36% 달해

22일 강원 춘천시의 한 초등학교에에 마련된 선별진료소에서 어린이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검사를 받고 있다. 해당 학교에서는 이날 학생과 교사 등 9명이 코로나19 확진을 받아 등교가 임시 중단됐다. /연합뉴스22일 강원 춘천시의 한 초등학교에에 마련된 선별진료소에서 어린이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검사를 받고 있다. 해당 학교에서는 이날 학생과 교사 등 9명이 코로나19 확진을 받아 등교가 임시 중단됐다. /연합뉴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유행이 곳곳에서 이어지는 가운데 전파력이 더 센 것으로 알려진 변이 바이러스 확산세가 이어지고 있다. 22일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에 따르면 최근 1주간(13∼19일) 국내에서 영국·남아프리카공화국(남아공)·브라질·인도 등 이른바 주요 4종 변이 바이러스에 감염된 확진자는 모두 261명으로 확인됐다. 이는 유전체 분석을 통해 변이 감염 사실이 확정된 사례를 집계한 수치다.

신규 261명 가운데 영국에서 유래한 '알파형' 변이 감염 사례가 223명으로 가장 많고 이어 인도 '델타형' 변이 35명, 남아공 '베타형' 변이 2명, 브라질 '감마형' 변이 1명이다. 이들의 감염경로를 보면 227명이 국내감염, 34명이 해외유입 사례다. 국내 감염으로 신고된 지역은 경기 35건, 서울·대구 각 25건 등이었다. 지난 1주간 유전자 분석을 통해 변이 바이러스가 확인된 검출률은 35.7%(732건 중 261건)로, 직전 주(6∼12일)의 35.8%와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22일 오전 서울역 광장 중구임시선별검사소에서 시민들이 검사를 위해 대기하고 있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이날 0시 기준으로 신규 확진자가 395명 늘어 누적 15만1,901명이라고 밝혔다. /연합뉴스22일 오전 서울역 광장 중구임시선별검사소에서 시민들이 검사를 위해 대기하고 있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이날 0시 기준으로 신규 확진자가 395명 늘어 누적 15만1,901명이라고 밝혔다. /연합뉴스



국내에서 변이 바이러스 감염자가 확인된 집단감염 사례는 일주일 새 13건 더 늘어 총 165건이 됐다. 신규 13건 중 12건은 알파형 변이, 1건은 델타형 변이로 확인됐다. 변이가 확인된 국내 집단감염 사례의 확진자는 총 280명이다. 이 중 유전체 검사로 변이 감염 사실이 확인된 환자는 39명이고, 나머지 241명은 역학적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추정되는 '역학적 관련' 사례다.

관련기사



집단감염 사례 가운데 알파형 변이는 서울·경기·경남(각 2건)을 비롯해 전북·광주·제주·충북·충남·대전(각 1건) 등 전국 곳곳에서 확인됐다. 델타형은 전남 함평군의 한 의원에서 발생한 집단발병 사례에서 검출됐다. 이 사례는 지난달 24일 첫 확진자가 나온 이후 이달 11일까지 22명이 확진됐는데 확진자 중 3명에게서 변이 감염이 확인됐다.

방역당국은 작년 말 이후 1만1,336건의 검체를 분석해 현재까지 2,225건(명)의 주요 변이를 확인했다. 유형별로는 알파 변이 1,886건, 델타 변이 190건, 베타 변이 142건, 감마 변이 7건이다. 이들과 역학적 연관성이 있는 사례까지 모두 포함하면 변이 감염 규모는 더 클 것으로 보인다.

/박신원 인턴기자 shin01@sedaily.com


박신원 인턴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