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감염병 대응 등 내년 R&D 예산 23조 5,000억 확정

정부 "글로벌 기술 패권 경쟁력 강화"

바이오·미래차 등 핵심산업 육성나서

지난 22일 이경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이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브리핑룸에서 ‘2022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예산 배분 조정안’ 관련 설명을 하고 있다. /사진 제공=과기부지난 22일 이경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이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브리핑룸에서 ‘2022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예산 배분 조정안’ 관련 설명을 하고 있다. /사진 제공=과기부




정부가 내년도 주요 연구개발(R&D) 예산을 올해 대비 4.6% 증가한 23조 5,000억 원 규모로 확정했다. 이번 예산안은 감염병 대응을 비롯해 바이오헬스·미래차·시스템반도체 분야의 기술 역량 강화, 6세대(6G) 이동통신·우주산업 등 글로벌 패권 경쟁에 적극 대응하기 위해 마련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4일 열린 제16회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심의 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의 ‘2022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예산 배분·조정안’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우선 코로나19 등 감염병 대응에 전년 대비 11.5% 증가한 총 4,881억 원을 투입한다. 감염병 예측·진단기술, 백신·치료제 개발에 중점 투자하고 mRNA 백신 등에도 새롭게 투자한다.

바이오헬스·미래차·시스템반도체 등 혁신 성장 3대 핵심 산업 육성에도 전년 대비 9.1% 증가한 2조 4,800억 원을 투자한다. 또 블록체인 기술과 5세대(5G) 융합 서비스의 상용화를 위한 핵심 기술 등 디지털 뉴딜 분야에도 전년 대비 44.8% 오른 1조 5,400억 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한미정상회담 후속 사업인 반도체·우주·양자·6G 등 국가 전략 분야에도 3,659억 원을 배정했다. 이번 예산안은 이달 중 기획재정부에 전달해 내년 정부 예산안에 포함돼 오는 9월 국회에 제출될 예정이다.


정혜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