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김치가 중국음식?…국내 교과서도 '파오차이'로 표기

반크 "중·고등학교 중국어 교과서 시정 요청"

中 악용 가능성…신치나 고유명사로 변경을

지학사는 고등학교 중국어 교과서에 김치라면전골을 ‘파오차이라멘훠궈(빨간색 네모 부분)’로 오역했다. /연합뉴스지학사는 고등학교 중국어 교과서에 김치라면전골을 ‘파오차이라멘훠궈(빨간색 네모 부분)’로 오역했다. /연합뉴스




우리나라 중·고교생용 중국어 교과서에 김치가 ‘파오차이(泡菜)’로 잘못 번역된 사실이 드러났다. 사이버 외교 사절단 반크는 29일 이같은 사실을 밝히고 오역한 국내 대표적 중국어 교과서 출판사인 다락원, 시사북스, 능률, 지학사, 정진 등을 대상으로 시정을 요청했다. 파오차이는 중국 쓰촨성의 염장 채소로, 피클에 가까운 음식이다. 중국은 김치를 ‘한궈 파오차이(韓國 泡菜)’로 부르며 김치의 기원이라고 주장한다.

시사북스는 고등학교 중국어Ⅰ 자습서에 김치를 ‘파오차이’로 표기했다. /연합뉴스시사북스는 고등학교 중국어Ⅰ 자습서에 김치를 ‘파오차이’로 표기했다. /연합뉴스



반크에 따르면 지학사는 ‘한국 식당의 차림표’라는 소개에서 ‘김치라면전골’을 ‘파오차이라멘훠궈’로, 정진출판사는 한국 음식을 중국어로 표현하는 방법이라며 김치를 '파오차이'로 번역했다.

관련기사



또 시사북스는 ‘너는 김치를 담글 줄 아니?’라고 묻는 예문에서 ‘파오차이를 담근다(做泡菜)’라고 번역했다. 능률출판사는 음식 맛을 묻고 답하는 표현에서 김치 삽화와 함께 ‘파오차이(泡菜)’와 ‘맵다’를 의미하는 단어 ‘辣(랄)’을 함께 제시해 ‘김치가 매워요’라는 문장을 완성하도록 하고 있다. 특히 사시북스, 능률출판사는 본문뿐만 아니라 어휘 색인에서도 파오차이(泡菜)를 김치로 뜻풀이 하고 있다.

다락원 중국어 자습서에도 김치를 파오차이로 표현했다. /연합뉴스다락원 중국어 자습서에도 김치를 파오차이로 표현했다. /연합뉴스


박기태 반크 단장은 “중국이 김치 종주국인 한국을 무시하고 김치가 중국의 음식이라고 왜곡하는 상황에서 이같이 중고등학생들이 배우는 중국어 교과서에서 김치를 ‘파오차이’로 오역하는 것은 중국의 국제 홍보에 악용될 수 있기에 반드시 시정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중국은 ‘파오차이’를 국제표준으로 정하면서 “한국 김치도 파오차이에 해당하므로 이젠 우리가 김치산업의 세계 표준”이라고 국제 사회에 주장하고 있다.

반크는 해당 출판사에 농림부가 제정한 김치의 중국어 표기인 ‘신치(辛奇)’로 바꾸거나, 김치 고유명사 그대로 수정할 것을 요구했다. 반크는 앞서 한국관광공사, EBS 중국어 수능 교재, 국립국어원 사이트 등에도 김치를 ‘파오차이’라 표기한 오류를 지적해 시정한 바 있다.


박예나 인턴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