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라이프

고령화·의료 발달로 환자 급증..."심부전 건보 보장 확대" 목소리

10여년새 환자 두배 수준인데

좌심실 보조장치 등 억대 가격

치료 늦지않게 보장성 늘려야

윤종찬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순환기내과 교수가 1일 서울 서초구 반포동 서울성모병원에서 심장 모형을 들고 심부전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성형주기자윤종찬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순환기내과 교수가 1일 서울 서초구 반포동 서울성모병원에서 심장 모형을 들고 심부전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성형주기자




인구가 고령화 하고 의료 기술이 발달하면서 심부전 환자가 급증하고 있다. 예전에는 심부전 ‘선행 질환’ 등으로 목숨을 잃었던 환자가 기술 발달로 심부전 진단까지 받으면서 나타난 결과로 풀이된다. 심부전 건강보험 보장성은 과거에 비해서는 확대됐지만 여전히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1일 대한심부전학회에 따르면 지난 2002년 전체 인구의 0.8% 정도였던 심부전 진단을 받은 환자가 2013년에는 1.5% 수준으로 늘어났다. 현재의 유병률은 2.5% 정도로 추정된다. 학회는 2040년이 되면 국내 심부전 환자는 인구의 3%가 넘는 172만 명에 달할 것으로 전망한다.



윤종찬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순환기내과 교수에게 심부전 유병률이 이처럼 증가 추이를 보이는 이유에 대해 물었다. 윤 교수는 “고령화로 심부전으로 진행할 소인이 있는 사람이 늘고 있다”며 “급성기 치료 기술이 발달한 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고 답했다.

관련기사



그러면서 선행 질환이 심근경색인 심부전의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다. 그는 “예전에는 심근경색 환자 두 명 중 한 명, 세 명 중 한 명은 병원에 오기 전에 사망하는 경우가 많았다”며 “하지만 지금은 가까운 곳에서 양질의 치료를 받기 때문에 고비는 넘길 가능성이 크지만 10~20년 후, 짧게는 1~2년 뒤에도 심부전 진단을 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심부전 환자 증가 속도는 매우 빠르지만 건보 보장성 확대 속도는 그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는 모습이다. 환자 입장에서 보면 생명과 직결되는 심부전 치료는 선택의 문제가 아닌 만큼 건보 보장성 확대를 더욱 적극 검토할 필요가 있다는 게 의료계의 중론이다.

윤 교수는 “좌심실 보조장치는 기계 값만 1억2,000만 원 정도인데 보험이 적용되지 않으면 환자는 수술비까지 총 비용은 2억 원의 비용을 부담해야 한다”며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전문가 위원회가 사전 심의를 통해 급여 적용을 승인하면 환자는 10%의 비용만 부담하면 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승인 건수를 너무 지나치게 조절하다 보면 치료 시기를 놓치게 된다. 이미 심장 때문에 다른 장기가 나빠진 다음에는 좌심실 보조장치를 달아도 생존할 수 없을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했다.

제도적 지원 확대가 필요한 것은 약제 쪽도 마찬가지다. 그는 “미국에서는 환자가 큰 부담을 안 느끼면서 사용할 수 있는 약제가 우리나라에서는 허가 자체가 안돼 있거나 자기 부담률이 높은 경우가 있다”며 “심부전 치료제는 먹어도 되고 안 먹어도 되는 약이 아닌 만큼 보장성을 확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임지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