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라이프

코로나 무증상 감염도 장내 미생물 불균형 유발

강북삼성병원 생활치료센터 입소 환자 12명 분석

사진제공=강북삼성병원사진제공=강북삼성병원




코로나19 중증 환자는 장내 미생물 환경이 불균형해진다고 알려지고 있다. 그런데 최근 코로나19 중증환자뿐만 아니라 경증 및 무증상환자에서도 장내 미생물 환경의 심각한 불균형이 관찰된다는 국제 연구 결과가 발표돼 눈길을 끈다.

성균관의대 강북삼성병원 소화기내과 박동일, 박수경 교수, 연구지원실 김한나 교수 연구팀은 지난해 4월 무증상 및 경증환자 격리시설로 이용된 생활치료센터 환자를 분석한 결과 코로나19 중증환자뿐 아니라 경증 및 무증상환자에서도 장내 미생물 불균형이 관찰됐다고 7일 밝혔다. 다만 감염 후 음성으로 회복이 되면 장내 미생물 환경도 함께 회복된다는 게 연구팀의 설명이다.



연구팀은 생활치료센터 환자들에게서 코로나19 양성인 시점과 음성인 시점에서의 대변 샘플을 각각 수집해, 장내 미생물의 DNA를 추출하고 16S rRNA 유전자 분석(시퀀싱)을 수행해 장내미생물 무리를 분석했다. 그 결과 동일한 환자에서 장내 미생물의 다양성은 음성일 때에 비해 코로나19 양성일 때 크게 감소했고, 음성으로 회복되자 다양성은 다시 증가했다.

관련기사



건강한 사람의 장내 미생물은 박테로이데테스 계열의 세균과 퍼미큐테스 계열의 세균이 거의 비슷한 양으로 전체 장내미생물의 90% 정도를 차지했다. 반면 코로나19 무증상 및 경증 환자의 경우 박테리오데테스의 계열의 세균이 5% 수준으로 현저히 줄어들어 퍼미큐테스 계열의 세균과 박테로이데테스의 계열의 세균이 비율이 매우 불균형한 상태로 관찰됐다. 그러나 바이러스가 사라졌을 때는 박테로이데테스 계열의 세균이 30% 이상 수준으로 빨리 회복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박수경 교수는 “장내 미생물과 질병과의 상관관계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지만 불균형한 장내 미생물 환경이 많은 질병의 원인이 되며 우리 건강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은 확실하다”며 “장내 미생물의 다양성을 회복시키기 위한 치료 방법을 고려하는 것은 장기적인 코로나19 감염증을 치료하고 회복속도를 높이기 위한 중요한 전략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스위스 MDPI 출판사가 발간하는 학술지 미생물(Microorganism) 최신판에 게재됐다.

임지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