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의 세대당 인구수가 올해 상반기 기준 2.17명 수준까지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저출산과 집값 상승 등의 여파로 서울 전체 인구수는 줄어든 반면 혼자 거주하는 ‘1인 가구’가 늘어난 영향이다. 서울시는 오는 19일 전담조직을 출범시키며 본격적인 1인 가구 지원에 나설 방침이다.
11일 서울시 빅데이터 캠퍼스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통계에 따르면 서울의 세대당 인구수는 지난 2014년 6월 2.42명에서 올해 6월 기준 2.17명으로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다. 7년 만에 0.25명 줄어든 셈이다. 이는 전국 평균인 2.22명을 밑도는 수준이다. 같은 기간 서울 전체 인구는 1,012만 9,223명에서 956만 5,990명으로 5.5% 감소한 반면 세대수는 418만 9,495세대에서 440만 5,638세대로 5.1% 증가했다.
세대당 인구수를 서울 25개 자치구별로 살펴보면 올해 6월 기준 관악구가 1.78명으로 가장 적었고, 중구(1.96명)와 종로구(1.99명)가 뒤를 이었다. 금천구(2.0명)와 용산구·동대문구(2.03명), 영등포구(2.04명), 광진구(2.05명) 등도 1명대 진입을 눈앞에 두고 있다. 세대당 인구수가 가장 많은 양천구도 2.49명에 그쳤다.
주민등록 기준인 세대당 인구수가 감소한 것은 1인 가구의 증가를 의미한다. 실제로 통계청이 발표한 서울시의 1인 가구 수는 2019년 기준 129만 9,787가구로 전체 가구 수(404만 3,957가구)의 32%를 차지했다. 2018년 122만 9,421가구와 비교해 1년 새 5.7% 증가한 규모다.
서울의 1인 가구 증가 배경으로는 극심한 저출산과 주거비용 상승에 따른 가족단위 전출, 교육·취업 목적의 20대 1인 가구 전입 등이 꼽힌다. 정재훈 서울여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세대당 인구수 감소는 주거·직업·교육 목적의 세대 분리 영향도 있지만 큰 흐름은 1인 가구의 증가세를 나타낸다”며 “주거형태를 기존 4인 가구 중심에서 1인 가구에 적합한 소형주택으로 다양화하는 등 정책의 다변화가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이에 맞춰 서울시는 지난 4월 오세훈 시장 취임 직후부터 ‘1인 가구 특별대책추진 태스크포스(TF)’를 운영하고 있다. 1인 가구 지원은 오 시장의 ‘1호 공약’이기도 하다. TF는 조직개편을 통해 오는 19일 시장 직속 정규 조직인 ‘1인 가구 특별대책추진단(추진단)’으로 거듭날 예정이다. 추진단은 올 하반기 1인 가구를 대상으로 한 다양한 지원정책을 실시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시의회 심의를 거쳐 추가경정예산 27억원을 확보했다.
먼저 오는 8월에는 1인 가구 현관에 센서 카메라를 설치해 스마트폰으로 방문자를 확인하고 위급상황 시 전문보안업체가 긴급출동하는 ‘도어지킴이’ 서비스가 시행된다. 서울시는 소득수준에 따라 센서 카메라 설치 비용을 차등 지원할 방침이다. 9월로 예정된 ‘안심마을 보안관’은 여성 1인 가구가 많은 취약지역에 전담경비원을 배치해 여성 대상 범죄를 예방한다. 또 10월부터는 거동이 불편한 1인 가구의 응급상황 발생 시 병원이나 약국에 동행해주는 서비스도 시작된다.
이밖에 여성 1인 가구에 현관문 이중잠금장치와 휴대용 긴급벨 등을 지원하는 ‘안심홈세트’지원도 올해 본격 시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