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경기도, 남한산성 국청사지에서 목부재 출토…승영사찰 누각 구조 이해 기대

국청사 월영루지 축대 아래에서 확인된목부재국청사 월영루지 축대 아래에서 확인된목부재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인 남한산성 내 승영사찰 국청사(國淸寺) 옛터에서 조선시대 목부재(구조물의 뼈대를 이루는 나무로 만든 재료)가 출토됐다.

경기도는 국청사 누각 월영루(月暎樓) 축대 아래에서 장여(長舌·도리 밑에서 도리를 받치는 부재), 인방(引枋·기둥과 기둥 사이 또는 문이나 창의 아래나 위로 가로지르는 부재), 화반(花盤·인방 위에 장여를 받치기 위해 끼우는 부재) 등 건축부재를 발견했다고 20일 밝혔다.



경기도 남한산성세계유산센터는 경기문화재단 경기문화재연구원과 지난해 9월부터 광주시 남한산성면 산성리 일원에서 문화재 정밀 발굴조사를 진행해 왔다.

관련기사



남한산성 발굴조사에서 조선시대 건축부재가 출토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조선 인조 2년(1624년) 축성된 남한산성에는 산성의 축성과 관리?수비를 위해 10개의 승영사찰이 건립됐다. 승영사찰이란 승군이 산성에 주둔하면서 세운 사찰로, 금당·승방 등 일반적인 사찰 공간 외에도 무기고·화약고 같은 군사적 공간이 함께 있다.

10개 중 국청사는 한흥사와 함께 1624년 가장 먼저 세워진 사찰이다.

하지만 1905년 일본이 의병 무기창고로 사용되던 남한산성 내 모든 사찰을 폭파하면서 국청사도 함께 폐사됐다.

이은선 경기도남한산성세계유산센터 소장은 “이번에 출토된 목부재는 옛 기록에서 확인된 ‘월영루’의 건축부재라는 점에서 그 역사적 가치가 있다”며 “앞으로 보존처리와 추가연구를 거치면 남한산성 승영사찰에 건립된 누각 구조를 이해하는 데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는 귀중한 자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윤종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