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인구가 지난달 기준 336만4,358명으로 감소한 가운데 부산시가 오는 2025년까지 3조5,736억 원을 투입해 인구 증가를 위한 다각적인 대책을 마련한다. 부산 인구는 지난 1995년 388만명으로 정점을 찍은 후 외부 유출과 자연 감소가 이어지고 있다.
부산시는 지역 맞춤형 인구종합대책인 ‘제1차 부산시 인구정책 기본계획(2021∼2025)’을 22일 발표했다. 이 계획에는 목표 인구 수는 제시하지 않았다. 저성장과 인구 감소추세를 받아들이는 대신 청년, 고령층, 1인 가구, 외국인 등 모든 세대와 계층이 행복하고 살고 싶은 도시를 만드는 데 정책의 초점을 두겠다는 취지에서다.
기본계획은 일하기 좋은 도시, 청년이 머무르는 도시를 포함한 6대 분야 25대 세부과제 109개 주요 사업을 제시했다. 산학 협력을 통한 일자리 창출과 창업 활성화에 주력하고 청년의 안정적인 지역 정착을 유도하기 위해 청년 주거정책을 ‘내 집 마련’으로 확장할 계획이다. 또 15분 안에 직장, 근린시설, 쇼핑, 문화, 의료 등을 이용할 수 있는 ‘15분 도시’ 조성을 위해 교통·헬스케어·안전관리 등 분야에 스마트 기술을 도입한다.
시는 이들 주요 사업에 5년간 3조5,736억 원을 투입한다. 국비 1조 8,358억 원과 시비 1조 7,378억 원을 확보한다는 방침이다. 부산시 관계자는 “단기간에 인구 추세 반전이 어렵다는 것을 인정하고 사회 시스템 전반에 걸쳐 ‘인구변화에 대한 적응력’을 키우는 것을 목표로 설정했다”고 말했다.
현재 부산은 총인구, 합계출산율, 고령화율, 가구구조, 지방소멸위험지수 등 주요 인구지표가 모두 부정적인 추세를 보인다. 주요 원인은 수도권으로의 일방적인 인구 유출과 저출산 심화 현상이다. 특히 10년 간 수도권과 경남으로 떠난 순유출은 21만명에 달한다. 2018년부터는 출생자보다 사망자가 더 많아졌다. 부산의 합계출산율은 지난해 0.75명으로 전국에서 가장 낮다. 반면 고령화율은 19.4%로 광역단체 중 가장 높아 오는 9월에는 초고령사회로 진입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