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KAIST, 14주간 앱(App) 창업 지원해 37건 창업 성과 달성

앱 시제품 제작 위한 기획-분석-설계-구현 등 전 과정 교육 및 지원

16개 팀의 58명이 37건의 창업 성과 달성, 4개팀은 투자 유치 완료

KAIST SW교육센터가 주최한 제1기 App 창업 지원 프로그램 참가자들이 5월 30일 열린 오프라인 네트워킹 행사에서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KAISTKAIST SW교육센터가 주최한 제1기 App 창업 지원 프로그램 참가자들이 5월 30일 열린 오프라인 네트워킹 행사에서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KAIST




KAIST은 ?앱(App) 창업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해 총 37건의 창업 성과를 달성했다고 22일 밝혔다.



?App 창업지원 프로그램?은 KAIST SW교육센터가 소프트웨어 분야의 창업 교육 및 인큐베이팅을 목적으로 기획했다. 어플리케이션 시제품을 만들기 위한 기획·분석·설계·구현에 이르는 전 과정을 교육하고 창업과 기술 분야의 멘토링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으로 지난해 12월부터 올해 4월까지 총 14주간 온라인으로 진행됐다.

소프트웨어 분야 비전공자들도 앱 서비스 개발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전공 및 출신 학교 등 소속에 제한을 두지 않은 공모를 진행했고 총 78개 팀으로 구성된 196명의 지원자를 모집했다.

지원자들은 창업등록(10일)-앱 기획(1개월)-앱 개발(2개월) 등 3단계로 진행되는 임무를 부여받아 앱 기획서 작성·사업자 등록·프로토타입 개발·앱 및 서버 프로그램 개발 등의 강도 높은 과제들을 수행했다.

KAIST SW교육센터는 각 단계별 임무를 완수할 때마다 참가자들에게 창업 촉진금을 지급하고 서비스 구성을 위한 클라우드 환경 및 소프트웨어 라이선스 등 창업에 필요한 환경도 함께 제공했다.



그 결과 1단계에서 20개 팀의 70명이 선발됐고 16개팀의 58명이 최종 3단계 임무까지 완주하는데 성공했다. 각 완주 팀은 분야별 전문가에게 소프트웨어 개발 교육을 받고 기술 멘토링을 지원받았다. 이를 통해 성장 가능성이 있는 앱 시제품을 개발한 것은 물론 법인창업 1건 및 개인 창업 36건 등 총 37건의 실질적인 성과를 창출했다.

관련기사



최종 완주에 성공한 16개팀중 ?관리비책?, ?얌밀?, ?큐피드? 팀은 2021년 창업진흥원 예비창업패키지에 최종 선정돼 각각 4,000만원에서 1억원에 이르는 정부지원 창업자금을 확보했다. 또한 창업팀 ?그레이트퍼즐?은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청년창업사관학교를 통해 1억1,000만원의 창업자금을 유치했다.

이번 앱 창업 지원 프로그램의 가장 큰 성과는 단 14주간의 교육만으로 소프트웨어 개발에 문외한이었던 지원자들을 앱 개발자 및 창업자로 성장시켰다는 점이다.

전체 지원자 196명중 146명(74.5%)이 소프트웨어 비전공자였고 최종 임무를 완수해 앱을 개발한 58명중 77%가 넘는 45명이 개발 경험이 거의 없는 비전공자였다.

특히 이번 프로그램에서 대상을 수상한 창업팀 ?관리비책?의 유성국(33)씨와 이윤곤(33)씨는 프로그래밍을 전혀 알지 못하는 상태로 참여해 소규모 건물 거주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데이터 기반 디지털 관리사무소 서비스 앱을 개발하는데 성공했다.

?관리비책?은 개발 성과를 바탕으로 현재 법인 설립을 진행하고 있으며 유 씨와 이 씨가 공동 대표를 맡았다.

유성국(33)씨는 ??IT기술로 사회 문제를 해결하는 일에 관심이 많았던 차에 KAIST가 소프트웨어 개발을 교육한다는 공고를 보고 지원하게 됐다?며 “앱 개발 기술을 배운 것뿐만 아니라 창업에서 겪을 수 있는 시행착오와 성공 요소를 간접적으로 체험하는 교육을 통해 창업가이자 개발자로 거듭날 수 있었다”라고 소감을 밝혔다.

이번 프로그램을 주최한 배두환 KAIST SW교육센터장은 “다양한 전공과 경험을 배경으로 가진 지원자들이 팀을 꾸린 결과 주거·패션·교통·교육·스포츠 등을 아우르는 다채로운 아이디어의 소프트웨어 시제품을 구현하고 창업까지 성공하는 결과로 완성됐다”며 “소프트웨어 교육을 통해 실무 인재를 양성한 좋은 본보기를 마련한 만큼 이번 프로그램의 성과 및 개선점을 분석해 소프트웨어 분야의 교육과 창업을 더욱 촉진할 수 있는 2기 프로그램을 내년 7월부터 운영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대전=박희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