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규제 폭탄으론 부족?…“中 당국, 디디추싱 지분확보 투진”

합법적인 영향력 확보 수단...디디추싱은 “사실 아냐” 부인

디디추싱 로고 /글로벌타임스디디추싱 로고 /글로벌타임스




중국의 국유기업들이 ‘중국판 우버’로 불리는 디디추싱의 지분 확보를 추진하고 있다고 블룸버그통신 등 외신들이 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에 대해 중국 관영 매체는 디디추싱이 이를 부인했다고 전했다.

블룸버그통신의 보도에 따르면 디디추싱 본사가 위치한 베이징의 시정부 당국은 국유기업들로 구성된 컨소시엄이 디디추싱에 투자하는 계획을 제안해 이를 조율하고 있다.



이들 국유기업 컨소시엄은 디디추싱 이사회에서 한 개의 의석을 확보하고 거부권을 행사할 수 있는 정도의 지분을 인수한다는 것이다. 이럴 경우 디디추싱의 중요 의사결정에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게 된다.

관련기사



이런 계획은 이 회사가 지난 6월 말 뉴욕증권거래소 상장을 강행한 후 중국 정부 당국의 강도 높은 규제 압박을 받는 가운데 나왔다. 중국 국가안전부 등 주요 기관이 총출동해 이 회사에 대한 안보심사에 착수하고 사업 확장도 잠정적으로 막은 바 있다.

빅테크(대형 기술기업)에 대한 중국 정부의 지분인수 전략이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중국 정부는 올 초에도 국유기업을 동원해 틱톡을 운영하는 바이트댄스와 ‘중국판 트위터’ 웨이보의 핵심 기업 지분을 각각 1% 가량 인수했다. 중국 정부는 이를 통해 이사 선임권과 거부권까지 확보했다. 각종 규제에 더해 ‘합법적’으로 이들 기업의 경영에 직접 관여할 수 있는 통로까지 확보한 것이다.

이런 가운데 디디추싱은 이번 국유기업의 자사 지분 인수에 관한 외신 보도를 일단 보도했다.

디디추싱은 전날 웨이보에 올린 성명에서 “현재 적극적이고 전면적으로 (정부의) 인터넷 안보 심사를 받는 중”이라며 “베이징시 관련 기업들이 지분은 인수한다는 외국 매체의 전언은 사실과 다르다”고 밝혔다. 관영 글로벌타임스도 5일 이런 내용을 메인 기사로 다루면서 디디추싱에 힘을 실었다.


베이징=최수문 특파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