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현대重 '가스텍 2021'서 그린십 기술력 과시

현대중공업그룹이 개발 중인 액화수소운반선의 개념도./사진 제공=현대중공업그룹현대중공업그룹이 개발 중인 액화수소운반선의 개념도./사진 제공=현대중공업그룹




현대중공업그룹이 이산화탄소·수소·암모니아 등 차세대 그린십 기술력을 선보인다.



현대중공업그룹은 오는 21일부터 23일까지 아랍에미리트(UAE) 두바이에서 개최되는 ‘가스텍(Gastech) 2021’에 참가한다고 15일 밝혔다. 액화천연가스(LNG)선, 액화석유가스(LPG)선 등 가스선 축소 모델 전시 및 차세대 선박 기술을 소개할 계획이다. 가스텍은 전 세계 700개 이상 에너지 기업, 3만 5,000여 명이 참가하는 대규모 국제 가스 행사다.

관련기사



한국조선해양·현대중공업·현대미포조선 등 현대중공업그룹 조선3사는 가스텍에서 △대형 액화이산화탄소운반선 △액화수소 화물 운영 시스템 △대형 암모니아추진·운반선 △중소형 LNG 부유식 가스 저장·재기화 설비(FSRU) 등에 대한 선급·기국의 기본 인증을 획득할 예정이다.

특히 대형 액화이산화탄소운반선은 4만㎥로 세계 최대 규모다. 운항 중 탱크의 압력을 유지해 화물을 안정적으로 보존 가능한 화물 저장 시스템과 화물 운영 시스템을 적용했다. 또 바이로브 방식(둥근 탱크 2개가 맞물린 형태)의 탱크 7개를 이용해 화물 적재량을 극대화했다. LNG 추진엔진을 탑재해 환경 규제에 대응할 수 있게 했다. 현대중공업그룹은 이산화탄소 포집 활용 저장(CCUS) 기술 수요가 급증하는 만큼 액화이산화탄소운반선 시장을 선점할 계획이다. CCUS 시장 규모는 올해부터 연평균 29.2% 성장해 2026년 253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현대중공업그룹은 영국 로이드선급과 업무협약(MOU)을 맺고 사이버 공간에서 선박을 구현하는 디지털트윈 선박 솔루션(HiDTS)을 설계·시운전·운항 단계까지 상용화하도록 협력을 강화한다.

현대중공업그룹 관계자는 “해상 환경 규제가 강화되며 선박 분야의 기술 트렌드도 급변하고 있다”며 “CO₂·암모니아·수소 등 해상 모빌리티 분야 친환경 기술 패러다임을 이끌어 나가겠다”고 밝혔다.


서종갑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