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마켓

엘리자베스 워런 "'깡통계좌 스캔들' 웰스파고 금융지주 지위 박탈해야"

미 연준에 서한 보내 이 같은 내용 촉구

재범 가능성 등 우려 차원

연준 "곧 적절한 답변할 것"

지난해 3월 뉴욕의 웰스파고 ATM기기 앞을 한 여성이 지나가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지난해 3월 뉴욕의 웰스파고 ATM기기 앞을 한 여성이 지나가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엘리자베스 워런 미국 민주당 상원의원이 미 4대 은행 중 하나인 웰스파고의 금융지주회사 지위를 박탈하라고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에 요구했다. 실적 부풀리기를 위해 수백만 건의 ‘깡통 계좌'를 개설하는 스캔들을 낸 적이 있는 만큼 앞으로도 비슷한 일이 재발할 우려가 있다는 이유에서다.



14일(현지 시간) 로이터는 워런 상원의원이 “웰스파고 사업을 전통 은행 부문과 투자은행(IB) 부문으로 분리해야 한다”며 이 같은 내용의 서한을 Fed에 보냈다고 밝혔다. 이어 “연준은 이 같은 지주사 해체 등 전환이 진행될 경우 고객이 보호받을 수 있는 방안을 수립할 수 있도록 웰스파고에 지시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워런 상원의원은 현재 미국 상원 은행위원회에서 활동하고 있다.

관련기사



웰스파고 로고 /로이터연합뉴스웰스파고 로고 /로이터연합뉴스


웰스파고는 2002년부터 실적을 부풀리기 위해 고객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도용하고 서명을 위조해 350만 개가 넘는 유령계좌를 개설해 운영하다 2016년 이 사실이 발각됐다. 이에 대한 조치로 연준은 2018년 웰스파고의 자산 상한선을 1조9,500억 달러로(약 2,284조 원) 한정한 바 있다. 연준은 또 웰스파고에 주택대출과 관련해 손실을 완화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도록 요구하는 등 다양한 분야에서 개선을 요구했다. 그럼에도 웰스파고는 개선 요구 사항을 제대로 이행하지 않았고 이에 따라 미국 통화감독청(OCC)은 이달 초 웰스파고에 2억5,000만 달러(약 2,900억 원)의 벌금을 부과했다.

워런 의원은 “아직도 수백만 명의 고객들이 추가적인 태만과 고의적인 사기의 위험에 처해 있다”라면서 “연준 이사회는 소비자를 최우선으로 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고 있고, 그 권한을 사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연준 측은 “서한을 받았으며 곧 적절한 답변을 할 것”이라고 전했다.


정혜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