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정부가 올린 집값·전셋값에…7만명 '노후자금' 당겨썼다

퇴직연금, 4년새 중도 인출자 1.8배, 인출액 2.1배 증가





지난해 퇴직연금을 중도 인출한 직장인 7만 명을 넘어선 것으로 드러났다. 규모만 약 2조6,000억원에 이른다. 급등하는 부동산으로 집값 문제 때문에 노후자금에 손을 댄 것으로 보인다.



12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전재수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금융감독원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퇴직연금 중도인출자는 지난해 7만1,931명으로 집계됐다. 2016년 4만91명에서 1.8배 늘어난 수준이다. 같은 기간 중도인출액은 1조2,317억 원에서 2조6,341억 원으로, 2.1배로 늘었다.

관련기사



지난해 기준 중도인출 사유를 보면 절반 이상이 주거 문제 때문에 노후자금을 인출했다. 중도인출액의 62.3%가 주택구매, 주거 목적의 임차보증금 등을 꼽았다. 부동산이 곧 노후대비라는 인식이 커지면서 퇴직연금까지 끌어와 주택 구매에 쓴 셈이다. 장기요양, 파산선고, 회생절차 개시 등 생활고로 인한 중도인출은 36.3%, 기타 이유는 1.3%로 집계됐다.

특히 은퇴를 코앞에 둔 40·50세대에서 생활고로 퇴직연금을 중도인출한 금액이 늘었다. 40·50대가 생활고 때문에 중도인출한 퇴직금은 2016년 3,729억 원에서 2020년 6,703억 원으로 79.8% 증가했다. 전 의원은 “퇴직연금까지 중도에 인출하지 않아도 인간다운 삶을 보장할 수 있는 다양한 사회 안전망 마련과 더불어 부동산 가격에 따라 좌우될 노후대비의 위험성을 점검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김현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