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자율주행 기술 美·中 쫓아가려면 규제 풀고 인재 육성 투자 늘려야”

한국산업연합포럼 온라인 세미나 개최

대도시서 실증테스트 환경 구축 필요

미국 3.9% 불과한 AI 인력도 늘려야

/이미지투데이/이미지투데이




자율주행차 기술 발전을 위해서는 데이터 축적을 위한 규제 완화와 인력 투자를 늘려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한국산업연합포럼(KIAF)은 13일 ‘미·중 자율주행차 경쟁 현황 비교 및 시사점’을 주제로 온라인세미나를 개최했다. 산업연합포럼에는 기계·디스플레이·바이오·반도체·석유화학·자동차·철강 등 15개 단체가 참여하고 있다.



국내 자율주행 기술 발전을 위해서는 먼저 관련 데이터 확보를 위한 규제 개선이 필수라는 의견이 나왔다. 정만기 KIAF 회장은 “자율주행차의 핵심 경쟁력은 대규모 주행 데이터 축적과 이를 분석 판단하는 인공지능에 달려 있다”라면서 “중국은 일반인을 상대로 무인택시 상용서비스에 돌입했고 우리는 AI 인력 등 기술 기반이 약하고 각종 규제로 산업발전이 더디다”고 지적했다. 이어서 그는 “국내에서는 자율주행차를 통해 입수되는 영상정보를 활용할 때 개인정보보호법에 따라 정보주체의 사전 동의를 받아야 하지만 불특정 다수 보행자에게 동의를 받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며 “다양한 서비스 모델을 개발하고 서울이나 부산 등 대도시 전체를 대상으로 하는 폭넓은 실증테스트 환경을 구축해 대규모 데이터를 축적하는 한편 산학협력 등을 통해 AI 기술인력을 시급히 양성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미국과 중국 대비 부족한 인력 확보도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한국자동차산업협회에 따르면 한국의 AI 석·박사 인력은 미국의 3.9% 수준이며 논문수도 중국의 10%에 불과한 상황이다. 이와 관련해 김용준 한국자동차산업협회 연구원은 “AI 인력 양성을 위해 집중적 재정지원과 유연한 학과 정원 규제 도입, 기업들의 AI 도입과 프로세스 개선 등에 필요한 산업현장의 AI융한 전문가 양성 등을 적극 추진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경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