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민간 우주시대 연다"…위성 대량생산체제 구축

■ 국산 위성 2호 발사 '카운트다운'…경남 사천 KAI 우주센터 가보니

국내 최대 규모 조립·실험장 조성

소·중·대형 36기 동시생산 가능

내년 2호기 발사 전 막바지 점검

우주사업 매출 3년 단위 2배 늘어

"사업 초기 정부 지속적 지원 필요"


한국항공우주(047810)산업(KAI)에게는 첫 민간 위성 개발이지만 한국 우주산업에는 위대한 도약이다.’

지난 8일 경남 사천 KAI 우주센터. 방진복과 방진모를 갖춰 입고 정전기 방지, 먼지 제거 과정까지 거친 뒤 위성검사실로 들어섰다. 높이 2.89m, 무게 약 500㎏인 KAI의 차세대 중형위성 2호가 당당히 서 있었다. KAI 관계자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서 차중 위성 2호를 옮겨온 후 고온·저온·진공 시험을 모두 마치고 분리충격 시험만 남아있다”며 “연말이면 위성 상태 점검은 끝난다”고 설명했다.




경남 사천 KAI 우주센터에서 차세대중형위성2호가 태양전지판, 전자광학카메라 등의 위성기능 시험을 진행하고있다./사진 제공=KAI경남 사천 KAI 우주센터에서 차세대중형위성2호가 태양전지판, 전자광학카메라 등의 위성기능 시험을 진행하고있다./사진 제공=KAI




차중 위성 2호는 민간 주도의 ‘뉴스페이스 시대’를 여는 신호탄이다. 항우연 주도로 만든 1호기는 올 3월 성공적으로 발사됐고 2호기부터는 KAI가 설계부터 제작까지 총괄하고 있다. 내년 상반기 발사가 목표다. KAI 우주센터는 3~5호기 개발·제작도 맡는다. ‘메이드 인 코리아’ 양산형 위성 생산기지로 발돋움 한다는 계획이다.

우주센터는 이를 위한 준비가 한창이다. 2,644㎡(약 800평) 규모의 위성 조립실은 관련 장비를 들이고 구축하느라 바빠보였다. KAI 관계자는 “조립실이 완성되면 소·중·대형 위성을 한 장소에서 혼류 생산할 수 있게 된다”며 “어떤 위성 제작 주문이 들어와도 대량 양산이 가능하도록 했다”고 설명했다. 단일 위성 조립·시험장으로는 국내 최대 규모라는 게 KAI 측 설명이다. 조립실이 완성되면 KAI는 대형 위성은 한 번에 6기, 중형은 10기, 소형은 20기를 동시 생산할 수 있다.



위성 전장품 제작도 양산화 작업에 돌입했다. 현재까지는 인쇄회로기판(PCB)에 반도체 칩을 올리고 납땜하는 작업을 100% 수작업으로 진행하고 있다. KAI 관계자는 “보드 하나를 제작하는데 숙련자 기준으로 2주 정도가 걸린다”며 “양산화 장비인 리플로우 솔더링을 활용할 경우 리드 타입이 70% 정도 줄어 3일이면 보드 제작이 끝난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KAI에서 한국형발사체 누리호를 총조립하고 있다./사진 제공=KAIKAI에서 한국형발사체 누리호를 총조립하고 있다./사진 제공=KAI


KAI 종포사업장에서 누리호 1단 추진제탱크가 제작되고 있다./사진 제공=KAIKAI 종포사업장에서 누리호 1단 추진제탱크가 제작되고 있다./사진 제공=KAI


누리호의 추진제 탱크를 제작한 종포공장도 방문했다. 누리호는 우리나라 기술로 만든 한국형 발사체로 오는 21일 1차 발사를 앞두고 있다. 추진제 탱크는 엔진과 함께 발사체의 핵심 기술이다. 기술 이전이 불가능해 KAI가 수차례 실패 끝에 국산화에 성공했다.

KAI는 국내 뉴스페이스 시대 개막의 선봉에 섰다. 한창헌 KAI 미래사업부문장은 “위성, 발사체 매출 규모는 3년 단위로 2배씩 성장하는 중이다”며 “3년 후에는 연간 2,000억~3,000억 원 규모가 될 전망이다”고 설명했다. 현재 국내 기업 중 우주 사업 연매출 최대 기업은 KAI다.

KAI는 양산형 위성 및 발사체 제작, 위성 서비스 사업 추진으로 우주사업을 키워나갈 계획이다. 한 부문장은 “우주사업은 위성·발사체 제작이라는 제조업에서 서비스업으로 시장 전환이 급격하게 이뤄지고 있다”며 “위성은 임무 기준으로 관측·항법·통신 부문이 있는데 항법, 통신 부문에 도전해 위성 서비스 시장으로 영토를 확장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다만 이를 위해서는 정부의 지속적 지원이 담보돼야 한다. 한 부문장은 “위성, 발사체 사업은 긴 호흡을 가지고 진행되는 사업인데 1년 단위 예산과 예비타당성조사 통과 여부에 따라 사업 실행 여부가 갈려 변동성이 크다”고 설명했다. 민간 우주 사업 육성을 위해서는 긴 안목을 갖고 사업 계획 및 예산 집행이 이뤄져야 한다는 것이다. 위성 서비스 시장 활성화를 위한 정부 역할도 중요하다. 한 부문장은 “위성 제작, 납품만으로는 서비스 시장이 크는데 한계가 있다”며 “관측 위성을 예로 들면 정부가 1년에 몇 장의 위성 사진을 살 테니 민간업체에서 위성 제작과 운영까지 맡으라고 하는 방식이 자리잡길 바란다”고 말했다./사천=서종갑기자

한창헌 KAI 미래사업부문장이 인터뷰하고 있다./사진 제공=KAI한창헌 KAI 미래사업부문장이 인터뷰하고 있다./사진 제공=KAI


서종갑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