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대우조선해양, 또 해킹 공격 당해…北 우리 잠수함 노리나

관계당국, 북한 소행 염두에 두고 수사

대우조선, 최근 세 차례 해킹 공격 노출

가칭 '현무4-4'로 알려진 국산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이 지난 15일 서해 해상에서 신형 잠수함인 '도산 안창호함'에서 수중 발사된 뒤 성공적으로 날아오르고 있다./ADD 제공 영상 캡처가칭 '현무4-4'로 알려진 국산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이 지난 15일 서해 해상에서 신형 잠수함인 '도산 안창호함'에서 수중 발사된 뒤 성공적으로 날아오르고 있다./ADD 제공 영상 캡처




우리 군의 잠수함을 생산하는 대우조선해양이 최근 북한의 소행으로 추정되는 해킹을 당해 관계당국이 조사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달 초 대우조선해양은 유사한 해킹을 당했는데 한 달도 안 돼 재차 북한으로 의심되는 곳에서 우리 안보를 노리는 사이버 공격이 감지된 것이다.



29일 복수의 안보 소식통과 국회 정보위 소속 하태경 국민의힘 의원 등에 따르면 방산업체 한 곳이 최근 또 해킹을 당한 것으로 파악됐다.

관련기사



하태경 의원은 전날 국회 정보위원회의 국가정보원 국정감사에서 “국정원장이 개탄하며 해킹 문제를 거론했다. 세 번째 해킹당한 업체가 있고 이 업체는 방사청 소관의 업체”라고 말했다.

당국이 조사한 결과 이 방산업체는 대우조선해양인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대우조선해양의 내부 전산망이 이달 초 해킹됐는데 또 유사한 공격을 당한 것이다. 국정원과 방위사업청, 군사안보지원사령부 등 관계당국은 북한이 배후에 있을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고 수사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당국의 한 관계자는 “방산업체에 대한 해킹 시도가 있었던 것은 사실”이라면서도 “유출된 정보가 중요 자료는 아닌 것으로 알고 있다. 관계당국의 수사가 진행 중이라 자세한 내용은 밝힐 수 없다”고 설명했다. 앞서 대우조선해양은 지난 6월에도 해킹 시도가 확인돼 관계당국이 수사에 나선 바 있다. 이달 초 사례까지 포함하면 세 번째 해킹 공격이다.

대우조선해양은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을 갖추고 국내 독자 기술로 개발된 해군의 첫 3천t급 잠수함 ‘도산안창호함’을 건조했으며, 핵추진잠수함 관련 연구도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구경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