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조희연 "청소년 백신접종, 자율이 원칙이나 전향적 판단 바라"

10대 연령대 코로나 발생률 평균보다 높아

서울 과대·과밀학교, 22일 이후 부분등교 가능

중1에 태블릿 1대씩 보급...선심성 정책 비판도

내년 출범 국가교육위원회 '옥상옥'기구 안돼

조희연 서울시교육감이 11일 오전 서울교육청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토의·토론문화 활성화 ▲국제공동(토론)수업 확대 ▲스마트기기 휴대학습 계획을 발표하고 있다./연합뉴스조희연 서울시교육감이 11일 오전 서울교육청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토의·토론문화 활성화 ▲국제공동(토론)수업 확대 ▲스마트기기 휴대학습 계획을 발표하고 있다./연합뉴스




조희연 서울시교육감이 11일 “소아·청소년 백신은 자율 접종이 원칙이지만 학부모들이 전향적 판단을 했으면 좋겠다”는 의견을 밝혔다.



조 교육감은 이날 서울시교육청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접종을 강요하는 분위기가 형성되지 않도록 자율접종 원칙을 유지하는 것이 기본 입장이다”라면서도 “10대 연령대의 코로나19 발생률이 평균보다 높게 나타나는 상황을 고려해 학부모들이 전향적인 판단을 하셨으면 한다”고 말했다.

교육 당국에 따르면 10∼19세 연령층의 지난주(10.31∼11.6) 일평균 확진자 발생률은 10만 명당 6.3명으로 평균(4.1명)보다 높다. 전날 기준으로 서울 교내감염 비율은 24.8%로 10월 21.2%보다 증가했다. 서울시교육청 관계자는 “학교에서 학생의 접종 여부를 공개하거나 조사하지 않고 미접종 시 교내활동 등에 불이익을 주지 않는 걸 원칙으로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조 교육감은 교육 분야 단계적 일상회복 방안에 따라 오는 22일부터 서울 유·초·중·고에서 전면 등교를 실시한다고 밝혔다. 다만 과밀·과대학교는 학교 구성원의 의견수렴에 따라 초등학교 3∼6학년은 4분의 3 이상, 중·고등학교는 3분의 2 이상 등교할 수 있다.

관련기사



서울시교육청은 이날 코로나19 이후 사회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미래교육 모델 정책도 제시했다.

우선 중학교 학생 1명당 스마트기기 1대씩을 보급하는 ‘디벗(Digital+벗)’ 계획을 발표했다. 내년부터 중학교 신입생에게 태블릿PC등 스마트기기를 1대씩 지급해 이들이 3학년이 되면 모든 중학생에게 스마트기기가 보급되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학생들은 태블릿PC를 활용해 학습하고 정보 윤리 등을 익히게 된다. 2024년까지 중학교 보급을 완료하고 이후 초등학교와 고교로도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1인 1스마트 기기 보급이 현금성 살포라는 지적에 대해서 조 교육감은 “코로나시대 교육의 디지털 전환히 가속화되었고 미래 교육 실현에 능동적인 대처가 필요하다”며 “다음 단계(교육감 선거 출마)를 위한 것은 아니다”고 선을 그었다.

토의·토론 교육도 활성화한다. 토의·토론 교육을 희망하는 초·중·고 전체 학교에 교당 평균 300만 원씩을 지원해 독서 기반 토의·토론수업, 사회 현안 프로젝트 학습 등이 이뤄지도록 돕는다. 또 토의·토론 기반의 쓰기 수업·평가 모델 ‘CLASS’를 개발해 학교에 보급한다. 조 교육감은 “다가오는 논·서술형 수능 시대를 대비한다는 의미에서 학교 현장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 통·번역 프로그램과 화상회의 프로그램을 결합해 서울 학생들과 외국 학생들이 자신들의 모국어로 말하며 실시간으로 공동수업을 하는 국제 공동 토론수업도 추진한다.

마지막으로 조 교육감은 내년 7월 출범하는 국가교육위원회가 ‘옥상옥’ 구조가 되지 않도록 초·중등 교육 관련 교육부의 권한이 교육청에 전면 이양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학교 현장에서 교육청 위에 교육부, 교육부 위에 국가교육위원회라는 또 하나의 상위기관이 생기는 것을 우려하고 있다”며 “이에 교육부 인력구조 개편이 필요하며 교육부의 초중등 교육 담당의 3분의 2는 국가교육위로, 나머지는 시도교육감협의회 사무국으로 이동시킬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한동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