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맬컴X 암살범' 55년만에 무죄…다큐 한편이 단초됐다

맨해튼지검 재조사서 '무죄' 결론

"FBI 등 증거 숨겨 종신형 받았다"

맬컴X 암살사건 진범은 공개 안해

미국의 흑인운동 지도자 맬컴 X의 암살 혐의로 종신형을 선고받았던 83세 무하마드 아지즈가 55년 만에 누명을 벗었다. /AP연합뉴스미국의 흑인운동 지도자 맬컴 X의 암살 혐의로 종신형을 선고받았던 83세 무하마드 아지즈가 55년 만에 누명을 벗었다. /AP연합뉴스




미국의 흑인운동 지도자 맬컴 X의 암살 혐의로 종신형을 선고받았던 83세 노인이 55년 만에 누명을 벗었다. 뉴욕타임스(NYT)는 17일(현지시간) 뉴욕 맨해튼지검의 사이러스 밴스 주니어 지검장이 맬컴 X 암살 사건 재조사 결과 당초 범인으로 지목됐던 무하마드 아지즈와 칼릴 이슬람이 사건과 무관함을 밝혔다고 보도했다. 밴스 지검장은 종신형을 선고받고 수감됐던 아지즈와 이슬람을 포함해 이들의 가족에게 "법 집행기관들이 책임을 다하지 못했다"며 사과했다.



맬컴 X 암살 사건은 1965년 뉴욕 할렘에서 발생했다. 맬컴의 본명은 멜컴 리틀로 백인들이 흑인 노예에게 지어준 이름을 거부한다는 의미에서 본래 성인 '리틀'을 'X'로 바꾼 흑인운동 지도자다. 이슬람 네이션이라는 흑인 종교단체를 기반으로 과격한 백인 배척론을 펼친 그는 이슬람 네이션과 결별한 직후 할렘의 연설장에서 3명의 괴한에게 총을 맞아 숨졌다.

관련기사



당시 수사기관은 맬컴 X와 관계가 틀어진 이슬람 네이션 회원이었던 무자히드 압둘 할림과 무하마드 아지즈, 칼릴 이슬람 등 3명을 범인으로 지목하고 살인죄로 기소했다. 하지만 당시 현장에서 총상을 입은 할림 외에 아지즈와 이슬람은 현장에 있었다는 사실조차 확인되지 않았다. 아지즈와 이슬람은 알리바이를 제시했고, 특히 범행을 인정한 할림은 증언대에서 두 사람은 무고하다고 말하기까지 했지만 모두 인정되지 않았다. 결국 1966년 이들 모두에게 종신형이 선고됐다.

지난해 넷플릭스가 해당 사건에 대한 다큐멘터리를 공개하면서 재수사가 시작됐다. 맨해튼 지검이 다시 당시 사건을 다시 살펴본 결과 연방수사국(FBI)과 뉴욕 경찰은 아지즈와 이슬람이 범인이 아니라는 증거를 숨긴 정황을 확인됐다. NYT는 만약 배심원단이 증거를 봤더라면 이들에겐 무죄가 선고됐을 것이라고 전했다.

이들은 암살범의 누명을 쓰고 각각 20년 이상을 감옥에서 보내야 했다. 아지즈는 1985년에 석방돼 현재 83세의 노인이 됐고, 이슬람은 1987년에 석방됐으나 지난 2009년 사망했다.

한편 맨해튼 지검은 아지즈와 이슬람이 아닌 맬컴 X를 암살한 진범에 대해선 정보를 공개하지 않았다. 다만 NYT는 이슬람 네이션 소속으로서 지난 2018년 사망한 윌리엄 브래들리가 증인들이 밝힌 범인의 인상과 부합한다고 전했다.


이주희 인턴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