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두환 전 대통령이 90세 일기로 자택서 지병으로 사망한 가운데 군사정권 시절 민주화운동에 몸담았던 이재오 국민의힘 상임고문이 전 전 대통령의 빈소를 찾아 조문했다.
이 상임고문은 24일 오전 개인 자격으로 서울 서대문구 세브란스 병원에 마련된 빈소를 찾아 유가족을 위로한 뒤 기자들과 만나 "전직 대통령이 돌아가셨으니 정치인의 한 사람으로 조문하는 것이 마땅한 예의라는 차원에서 왔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 상임고문은 "(전 전 대통령이) 생전에 현직에 있을 때 한 일은 역사적인 심판을 받을 것"이라고도 했다.
이 상임고문은 이어 고인과의 인연에 대해 "저는 전두환 정권 때 두 번이나 감옥을 갔던 사람이다. 전두환, 노태우 구속 시위를 주도했던 사람"이라면서 "개인적인 연은 없다"고 했다.
이 상임고문은 박정희 정권 때부터 1980년대까지 오랜 세월 재야에서 민주화운동을 이어왔다. 군사정권 시절 5차례에 걸쳐 총 10년 6개월간 옥고를 치렀다.
한편 전 전 대통령은 전날 오전 8시40분쯤 서울 서대문구 연희동 자택에서 지병으로 숨을 거뒀다. 전 전 대통령이 세상을 떠난 건 지난달 26일 친구이자 후계자인 노태우 전 대통령이 별세한 지 한 달여 만이다.
노 전 대통령 때와 달리 전 전 대통령의 장례는 '국가장'으로 치러질 가능성이 낮다. 노 전 대통령과 유족은 12·12 군사 쿠데타와 5·18 광주민주화운동 유혈 진압 등 역사적 과오에 나름 반성의 뜻을 표했지만 전 전 대통령은 사과 표명을 한 적이 한 번도 없기 때문이다.
문재인 대통령과 청와대 참모들 역시 이 같은 점을 고려해 조문을 가거나 추모 메시지를 내는 데 부정적인 입장으로 알려졌다.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후보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도 빈소에 조문하지 않기로 했다.
전 전 대통령은 1931년 1월 23일 경남 합천에서 태어나 1955년 육사를 11기로 졸업했다. 사조직인 '하나회'를 만들고 1979년 10월 26일 박정희 전 대통령 피살 사건 당시 합동수사본부장이 됐다.
전 전 대통령은 그해 정권 찬탈을 노린 12·12 군사 쿠데타를 일으키고 이듬해인 1980년 5·18 광주민주화운동을 무력으로 진압했다. 전 전 대통령은 1987년 4·13 호헌조치를 통해 개헌 요구를 거부했지만 그해 6월 민주항쟁이 일어나자 항복을 선언하고 1988년 초 자리에서 물러났다.
전 전 대통령은 1996년 김영삼 정부에서 내란·살인 등의 혐의로 무기징역을 선고 받았다가 1997년 12월 김대중 당시 대통령 당선자의 건의로 특별사면을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