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의 투쟁적인 노동운동에 공감하기 어렵다는 사회 분위기가 확산되고 있는 상황에서 변화의 요구에 부응하지 못할 경우 노사 모두가 설 자리를 잃게 된다.”
손경식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 회장은 29일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열린 ‘협력적 노사관계 구축을 위한 심포지엄’에서 “지금 세계는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등 디지털 시대로의 전환과 코로나19로 인한 언택트 상황을 경험하고, 다양한 분야에서 신산업이 일어나는 등 경제·사회구조도 급속히 변화하고 있다”며 이 같이 밝혔다.
손 회장은 “MZ세대 중심의 새로운 노동조합은 무조건적인 분배보다는 공정을, 투쟁보다는 소통을 중시하는 새로운 목소리를 내고 있다”며 “경영계는 협력적 노사관계가 구축되도록 합리적인 대안을 모색해 나갈 것이며, 노동계도 투쟁적 노동운동을 중단하고 함께 노력해달라”고 당부했다.
이날 행사에는 박대출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위원장, 안경덕 고용노동부 장관, 김영기 전 LG전자 부사장 등이 참석해 협력적 노사관계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박 위원장은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고 산업구조가 급변하는 시대적 전환기인 만큼 우리나라가 국가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기업과 노동조합의 파트너십과 상생의 노사관계가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 안 장관도 "최근 우리 노동시장 내 산업, 고용형태, 세대 등의 급속한 전환은 ‘협력과 상생의 노사관계’가 기본 토대가 될 때 비로소 노사 모두에게 위기를 넘어 기회가 될 수 있다”며 “중앙과 현장에서 끊임없는 대화 자리를 만들고 노사정이 양보와 타협의 경험을 쌓아 신뢰를 축적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전문가들은 노사간 소통 강화로 협력적 관계를 이룰 수 있다고 입을 모았다. 이정 한국외대 교수는 노사관계 안정을 통해 성장을 이룬 일본의 사례를 언급하며 노사갈등 극복의 비결로 △이데올로기보다 근로조건을 우선하는 노동운동 방향성의 변화 △전근대적 노무관리, 근로자의 기본 인권에 저촉되는 노사관계 배제 △노사관계가 기업 내부의 문제가 아닌 ‘사회적 존재’라는 인식 공유 등을 꼽았다. 김동원 고려대 교수는 “한국 노사관계 시스템은 87년 체제 극복과 뉴노멀 시대라는 두 가지 과제에 직면해있다”면서 “현대 조직이 가진 다양한 가치와 정체성을 포괄하는 확장된 다원주의로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