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문승욱 "공급망 안정화와 경제안보 실현하겠다"

31일 신년사 통해 이 같이 밝혀

국부창출형 통상전략도 수립





문승욱(사진)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체계적인 공급망 관리와 첨단산업 육성을 통해 공급망 안정화, 나아가 경제안보를 실현하겠다”고 말했다.



문 장관은 31일 신년사에서 “코로나19 장기화 속에 기저효과는 사라지고 당면 위기 대응과 미래 준비까지 함께 해야 할 2022년은 우리 경제의 진정한 역량을 가늠할 변곡점이 될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관련기사



문 장관은 공급망 안정화를 위해 해외 상무관·무역관 및 핵심품목별 수입기업과 핫라인을 구축해 국내외 양방향에서 이상 동향을 실시간으로 파악할 방침이라고 강조했다. 또 위기 요인에 대해서는 수입 다변화와 비축 확대 등의 다각적 방안을 검토할 예정이다.

문 장관은 “반도체·배터리 등을 둘러싼 ‘기술·산업 전쟁’을 이겨내고 우리 산업의 글로벌 주도권을 쟁취하도록 ‘국가첨단전략산업 특별법’을 조속히 제정하고 투자·인력양성·규제특례 등 패키지 지원에 착수하겠다”며 “에너지·산업의 한 발 더 빠른 전환을 통해 모두 함께 성장하는 탄소중립을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산업부는 이를 위해 재생에너지 확산을 위한 적정 이격거리 기준 및 풍력 원스톱샵 등의 제도 법제화, 암모니아·수소 등 무(無)탄소 발전 기술 및 인프라 확충, 국가온실가스 감축목표(NDC)를 반영한 전력계통망 보강계획 선제적 수립 등을 추진할 방침이다.

산업 부문에서는 “탄소중립 연구개발(R&D) 2배 확대, 특별융자사업 시행, ‘탄소중립 산업전환 특별법’ 제정 등 전폭적인 기업 지원에 방점을 두겠다”며 “전방위적 혁신과 미래 성장동력 창출로 글로벌 제조강국의 위상을 더욱 높여나가겠다”고 밝혔다. 이어 “디지털 전환 100대 선도모델 발굴·지원, 전력반도체·센서·화이트바이오 등 차세대 분야 선제적 육성, 2022년 하반기 중 레벨3 자율주행차의 국내 출시, 로봇의 전국적 보급 촉진 등을 중점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통상과 관련해서는 “‘국부창출형 통상전략’을 강화하겠다”며 “수출 7,000억달러 시대를 향해 기업과 함께 뛰고 포괄적·점진적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CPTPP) 가입 추진, 인도·태평양 경제 프레임워크 참여 검토 등을 통해 우리의 아시아태평양 통상 리더십을 높여가겠다”고 강조했다.


세종=양철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