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이주열 총재, 새해 추가 금리 인상 시사…“경제상황 맞춰 통화정책 조정”

“물가 오름세, 길어질 가능성 살펴봐야”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16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물가안정목표 운영상황 점검 설명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제공=한국은행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16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물가안정목표 운영상황 점검 설명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제공=한국은행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새해 경제상황의 개선에 맞춰 통화정책의 완화 정도를 적절히 조정해나가야 한다”며 추가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을 재차 시사했다.

관련기사



이 총재는 31일 배포한 신년사에서 새해 통화정책에 대해 “완화 정도의 추가 조정 시기는 성장과 물가 흐름을 면밀히 점검하는 가운데 금융 불균형 상황과 주요국 통화정책 변화의 영향을 함께 짚어가며 판단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총재는 “특히 그동안 높아진 물가와 기대인플레이션이 상호작용해 물가 오름세가 예상보다 길어질 가능성은 없는지 잘 살펴봐야 한다”며 최근 가파르게 치솟고 있는 물가를 통화정책 결정의 중요한 판단요인으로 제시했다. 그러면서 “대출제도 운용에 있어 소상공인과 자영업자 등 취약계층에 대한 선별적 지원을 당분간 유지하되 지원제도의 효율성을 제고하면서 코로나 이후 상황을 대비한 중장기 개선방안도 함께 모색해야 한다”며 현행 취약계층 지원제도의 개선 필요성도 강조했다.

이 총재는 새해 금융·외환시장의 변동성이 한층 커질 수 있다고도 경고했다. 그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등 주요국 중앙은행들이 높아진 인플레이션 압력에 대응해 금리 인상을 이미 시작했거나 예고하고 있다”며 “각국의 통화정책 정상화 과정에서 국제금융시장의 가격변수와 자본 유출입의 변동성이 증폭될 수 있는 만큼 불안 요인을 면밀히 모니터링하면서 필요한 경우 시장 안정화 조치를 적기에 시행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각종 금융지원의 정상화 과정에서 가계와 기업부채의 잠재부실이 현재화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며 “대출자의 채무상환능력 등 금융시스템의 위험요인을 상시 점검하고 정부와 협력해 적절한 대응 방안을 강구해 나가야 한다”고 덧붙였다.


김현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