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금융권에 대해 철저하게 리스크 관리를 할 것을 주문했다. 특히 일부 가계와 자영업자를 중심으로 신용위험이 확대될 가능성이 있는 만큼 잠재적 위험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 총재는 4일 ‘2022년 범금융권 신년사’를 통해 “포스트 팬데믹 시대에 새롭게 전개되는 ‘넥스트 노멀(Next Normal)’로 가기 위해서는 금융 역할이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며 “우선은 철저한 리스크 관리에 힘써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은행연합회와 6개 금융협회가 매년 공동 주관하는 범금융권 신년인사회는 코로나19 사회적 거리두기에 동참하기 위해 개최되지 않았다.
이 총재는 “경기 회복세가 이어지면서 전반적인 차주의 채무상환능력은 개선되겠으나 금융완화조치 정상화 과정에서 과도한 레버리지와 업황 부진에 직면해 있는 일부 가계 및 자영업자를 중심으로 신용위험이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라며 “특히 대외 불확실성이 매우 높은 상황에서 이러한 내부 취약 요인은 금융시스템의 약한 고리로 작용할 수 있는 만큼 더욱 예의주시하면서 잠재적 위험에 대비해 나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금융이 신성장 동력을 만드는 선도적 역할을 해야 한다고도 강조했다. 이 총재는 “조지프 슘페터는 자본주의의 역동성은 기업가의 기술 혁신에서 나오지만 이의 실현을 위해서는 금융에 의한 적극적인 자본공급이 있어야만 한다고 강조한 바 있다”라며 “금융이 혁신의 촉매로 포스트 팬데믹 시매의 친환경 디지털 경제로의 전환을 이끌 첨단기술산업 분야의 투자 활력 제고에 앞장서야 한다”고 주문했다.
올해 경제 상황과 관련해서는 코로나19 변이 확산이 경제회복의 가장 큰 위협요인이 될 것으로 봤다. 글로벌 인플레이션 압력 증대와 이에 따른 주요국의 통화정책 정상화, 중국의 경제성장 둔화 가능성 등 대외리스크 우려도 짚었다. 이 총재는 “팬데믹 이후 부채 누증, 자산 불평등과 같은 우리 경제의 구조적 취약성이 한층 심화됐고, 친환경 디지털 경제로의 전환은 방향과 속도를 가늠하기조차 힘든 상황”이라고 진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