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金·윤핵관 내친 윤석열號…권영세, 키 잡고 청년 싣는다

◆선대위 해체…홀로서기 나선 尹

尹 "2030 주도적 참여하게 할것"

4·7 재보선 72% 지지 대한 반성

수도권·MZ 중심 초슬림형 추진

이준석에도 "더 적극 역할" 요구

李엔 "대장동 토론+α" 날세워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5일 외부 일정을 마치고 서울 여의도 당사에 도착해 승강기에 타고 있다. /권욱 기자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5일 외부 일정을 마치고 서울 여의도 당사에 도착해 승강기에 타고 있다. /권욱 기자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5일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중앙선거대책위원회 해체를 선언하며 청년 세대를 향해 반성문을 썼다. 윤 후보는 “앞으로는 2030 청년 세대를 선거운동 과정에 주도적으로 참여하게 하고, 인물을 영입하는 방식에 의해서 어떤 입장을 보이고자 하는 그런 것은 지양하려 한다”고 말했다. 선대위가 지난달 ‘페미니스트’ 성향의 신지예 씨 등을 후보 직속 기구인 새시대준비위원회 부위원장으로 영입한 일을 공개 석상에서 실책으로 인정한 것이다. 동시에 당내 새 지지층으로 자리 잡은 ‘이대남(20대 남자)’의 질타를 수용한 입장이기도 하다.

국민의힘은 지난 4·7 재보궐선거 가운데 서울시장 선거에서 이대남의 압도적인 지지(72.5%)를 받아 선거 4연패(2016년 총선, 2017년 대선, 2018년 지방선거, 2020년 총선)의 늪에서 빠져나왔다. 하지만 선대위가 방향을 잘못 정하자 서울과 이대남의 지지율이 급락하는 위기를 맞고 있다. 이 과정에서 청년 세대를 대표하는 이준석 국민의당 대표와 극심한 내홍이 빚어졌다. 이 대표는 전략 실패의 원인을 ‘윤핵관(윤석열 핵심 관계자)’으로 지목했고 ‘원톱’인 김종인 전 총괄선대위원장은 중재에 실패했다. 윤 후보는 이에 선대위 해체로 김 위원장과 윤핵관의 자리를 모두 없애고 새 조직으로 출발하기로 했다.



윤 후보는 “청년 세대가 모든 세대의 문제를 균형 있게 보고 있다” “2030세대의 문제의식과 대안 의견을 대폭 수렴하는 게 국민 전체가 미래에 잘살도록 나아가는 데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며 청년층을 향해 몸을 낮췄다. 재구성하는 ‘초슬림’ 기동형 선거대책본부는 수도권·청년이 중심이 된다. 선거대책본부장에 권영세 의원을 임명한 것도 이 같은 윤 후보의 의지가 반영됐다. 권 의원은 서울 지역 4선 의원으로 수도권 선거의 전문가로 불린다. 또 2012년 대선에서 박근혜 당시 후보 총괄상황실장을 맡아 선대위를 지휘한 경험이 있다.

관련기사



권 의원은 임명과 동시에 대선을 치를 3개의 본부로 덩치를 줄인 선대본 개편안을 발표했다. 기자회견을 연 권 의원은 새 조직에 대해 “오로지 실무 중심 선대위로 하는 (윤 후보가) 내용을 말씀해주셨고 선대본부, 직능, 정책으로 운영된다”고 말했다. 이 가운데 선대본부장에 권 의원이 신임되고 정책본부는 기존대로 원희룡 본부장이 맡는다. 대신 총괄과 상임·공동선대위원장과 후보 직속 위원회는 모두 사라진다.

권 의원은 청년들을 선대위에 전진 배치하겠다고도 밝혔다. 그는 “청년보좌역이 굉장히 깊이 있는 생각(을 가지고 있다)”며 “그분들을 통해서 청년의 목소리를 들을 수 있는 체제를 만들 것”이라고 강조했다. 선대본 관계자도 “선대위 조직 자체를 해체했지만 청년보좌역은 잔류했다”며 “정책과 메시지·일정을 짜는 데 전면에서 활약할 것”이라고 말했다.

선대본의 운전대를 잡은 권 의원이 윤 후보와 이 대표의 관계를 풀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권 의원은 2012년 대선 선대위에서 청년 영입 인재였던 이 대표와 함께 활동하기도 했다. 윤 후보는 이날 김 위원장과 윤핵관 모두 사퇴하는 개편안을 내면서도 이 대표에 대해 “(당 의원들도) 더 적극적으로 선거운동에 나서기를 바라는 그런 입장”이라며 사퇴론을 일축했다. 이 대표는 이날 권 의원을 만난 뒤 “제안이 거부됐다”며 일단 합류는 거부한 상황이다. 하지만 대선까지 60여일이 남은 만큼 윤 후보의 선거운동을 도울 여지는 남아있다. 또 윤 후보는 홍준표 의원을 향해서도 ‘원팀’을 요청했다. 그는 “모든 분의 힘을 합쳐 단일대오로 선거를 치러야 한다. 필요한 모든 일을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윤 후보는 쇄신안 발표와 함께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를 향해 날을 세웠다. 윤 후보가 요구한 ‘대장동 토론’에 더해 정책 토론에도 나서겠다고 밝혔다. 실력 대결로 국민들에게 평가받겠다는 뜻이다. 윤 후보는 “선거운동 과정에서 발표한 공약들에 대해 국민 앞에서 검증하는 데 법정 토론 3회만으로는 부족하다”며 “실무진에게 법정 토론 이외의 토론에 대한 협의에 착수하라고 지시했다”고 말했다.

윤 후보의 벼랑 끝 승부수가 통할지는 여론에 달렸다. 특히 ‘원팀’이 되느냐에 명운이 걸렸다는 평가가 나온다. 신율 명지대 교수는 “이 후보도 가족 문제가 있지만 헤쳐나가고 있다”며 “내부의 문제가 핵심이고 갈등 상황을 끝내야 해결된다”고 말했다.


구경우 기자·김남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