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이재명, '여성인권 유튜브 출연' 항의에 "목소리 가려 들어선 안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7일 오후 서울 동작구 맘스하트카페에서 열린 '아이 키우기 좋은 사회' 국민반상회에서 참석자들과 대화를 나누고 있다./사진=국회사진기자단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7일 오후 서울 동작구 맘스하트카페에서 열린 '아이 키우기 좋은 사회' 국민반상회에서 참석자들과 대화를 나누고 있다./사진=국회사진기자단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가 7일 여성 인권·페미니즘·성 소수자 문제 등을 다루는 유튜브 채널 녹화에 참여했다가 일부 지지자들로부터 항의를 받았다. 이 후보는 "주권자를 가려가며 의견을 듣는 것은 옳은 정치가 아니다"라고 지지자들을 설득했다.



이 후보는 이날 여성 인권 문제 등을 다루는 유튜브 채널 ‘닷페이스’를 녹화했다. 소식이 알려지자 일부 지지자들은 항의했다. 이들은 이 후보가 이날 '매타버스' 일정의 하나로 진행하던 라이브 방송의 채팅창에 '출연을 철회하라'는 글을 올리기도 했다. 앞서 이 후보는 여성·청소년 문제를 다뤄온 유튜브 채널에 출연하려다 보류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대남(20대 남자) 지지자들의 반발을 고려한 것이다.

관련기사



이 후보는 닷페이스 녹화에 대한 반발이 나오자 자신의 유튜브 라이브 방송에서 "(상대에) 아예 귀를 막자, 접근도 하지 말자는 태도는 적절하지 않은 것 같다. 나쁜 이야기라도 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후 올린 페이스북 글에서 그는 "제가 출연한 미디어에 대한 우려와 논란을 잘 알고 있다"면서 "하지만 어떤 청년의 목소리도 (청취하는 것을) 회피해서는 안 된다"고 밝혔다. 이어 "갈등의 한복판에 뛰어 들어서라도 서로 다른 입장과 의견을 듣는 것이 정치인의 할 일이다. 설령 선거에 손해이고 정치적으로 불리하다고 해도 말이다"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청년 세대들이 적어진 기회의 문을 통과하기 위해 힘들고 어렵다. 그러다 보니 경쟁이 격화해 전쟁이 되고 서로 증오하는 상황까지 됐다"고 진단하면서 현실을 '오징어 게임'에 비유하기도 했다. 이 후보는 "문제의 뿌리와 근원을 조금이라도 도려내도록 노력해야 하고 그것이 정치의 역할"이라면서 "정치인 중에서 한쪽 편을 들며 상대에 대한 혐오와 증오에 편승하는 것은 정말 아니라고 보며 안타깝다"고 말했다.


이승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