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은행

우대금리 복원됐는데 대출금리는 제자리인 이유는?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인상하면서 일부 은행들이 깎았던 우대금리를 복원했지만 정작 대출금리 인하 효과는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산금리까지 덩달아 올리면서 복원된 우대금리 효과를 정작 대출 실수요자들은 느낄 수 없게 된 것이다.

관련기사



11일 금융권에 따르면 우리은행은 지난해 하반기 가계대출 총량 관리 차원에서 축소했던 신용대출 상품(10개)의 우대금리를 지난 3일 최대 0.6%포인트(p), 주택담보대출의 우대금리를 0.5%p 높였다. 실수요자들은 복원된 우대금리만큼 대출 금리가 낮아질 것이라고 예상했지만 정작 대출 금리는 크게 떨어지지 않았다. '우리아파트론(1∼3등급·만기 35년)' 변동금리 상품의 최저 금리는 지난해 12월 31일 3.84%에서 지난 1월 3일 3.80%로 불과 0.04%p 떨어지는 데 불과했다. 신용대출 상품인 '우리주거래직장인대출'의 최저 금리 하락 폭도 0.06%p에 그쳤다.

각 대출 상품의 기준이 되는 코픽스 등 지표금리가 이 기간 크게 뛰지도 않고, 우대금리도 복원됐는데 대출금리 인하 효과는 눈에 띄게 나타나지 않은 셈이다. 이는 우리은행이 같은 기간 우대금리 상승 폭만큼 가산금리를 올렸기 때문이다. 가산금리는 대출금리 산정 과정에서 은행이 업무·위험 비용 등을 이유로 지표금리에 덧붙이는 금리다. 가령, 지난 3일 우리아파트론 변동금리 상품의 가산금리는 2.80%에서 3.26%로 하루 사이 무려 0.46%p포인트나 높아졌다. 우리주거래직장인대출의 가산금리도 지난해 12월 31일 1.98%에서 올해 1월 3일 2.51%로 0.53%p나 올랐다.

은행 내부에서도 가산금리를 0.5%p이상 올린 것은 이례적이라는 평가다. 일각에서는 우대금리 복원으로 대출 수요가 몰릴 것을 우려해 가계대출 관리 차원에서 이같은 조치를 한 것으로 보고 있다.


윤지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