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광주 아파트 붕괴 “23층까지만 진입 가능할 듯…한쪽은 완전히 무너져”

실종된 6명 28∼31층 작업 추정…당국 "안전진단 후 진입·구조 방안 찾을 것"

광주 서구 화정현대아이파크 주상복합아파트 구조물 붕괴 이틀째를 맞은 12일 당국은 안전진단을 거쳐 실종자 수색 재개를 결정하기로 했다. 신축 공사 중인 이 아파트의 1개 동 옥상에서 전날 콘크리트 타설 중 28∼34층 외벽과 내부 구조물이 붕괴하면서 작업자 6명이 실종됐다. 사진은 이날 오전 사고 현장의 모습. /사진=연합뉴스광주 서구 화정현대아이파크 주상복합아파트 구조물 붕괴 이틀째를 맞은 12일 당국은 안전진단을 거쳐 실종자 수색 재개를 결정하기로 했다. 신축 공사 중인 이 아파트의 1개 동 옥상에서 전날 콘크리트 타설 중 28∼34층 외벽과 내부 구조물이 붕괴하면서 작업자 6명이 실종됐다. 사진은 이날 오전 사고 현장의 모습. /사진=연합뉴스




지난 11일 광주 화정아이파크 신축 공사 현장에서 붕괴 사고로 작업자 6명이 실종된 가운데 당국이 현재로선 23층까지만 진입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했다.



연락이 두절된 작업자들은 붕괴한 건물의 28∼31층에서 창호 공사 등을 하고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노형욱 국토교통부 장관은 12일 오전 광주 서구 화정동 붕괴 사고 현장을 찾았다.



국토부는 전날 오후 국토부 기술정책과장, 익산지방국토관리청 관계관, 국토안전관리원 등 전문가를 급파해 현장을 수습하고 사고 경위·원인을 조사 중이다.

관련기사



박영수 국토안전관리원장은 노 장관에게 "23층에는 기계실이 있어 다른 곳보다 구조가 단단했다. 그래서 (상층부부터) 무너져 내리다가 멈춘 것으로 보인다"고 현장 상황을 설명했다.

박 원장은 "현재 23층까지만 진입이 가능하며 한쪽은 완전히 무너져 내려 현장 구조 활동에 오랜 시간이 걸릴 것 같다. 안전진단을 마친 뒤 구체적인 구조 방안을 수립할 것"이라고 말했다.

광주시와 소방당국은 이날 오전 국토안전관리원, 건설사 등과 함께 적외선 및 열 감지 기능이 포함된 드론 2대를 활용해 안전진단을 시작했다. 당국은 진단 결과가 나오는 대로 인명 수색을 결정할 방침이다.

지난 11일 오후 3시 46분께 광주 서구 화정아이파크 공사 현장의 건물 39층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던 중 23∼38층 외벽 등 구조물이 붕괴했다.

이 사고로 작업자 1명이 경상을 입고 병원에 옮겨졌고 작업자 6명은 연락이 두절된 상태다.

가족들에 따르면 실종자들은 실리콘 작업(3명), 소방설비 업무(2명), 배관 업무(1명) 등을 담당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광주=김선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