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조직·한방' 없는 安…'魔의 15%'도 뚫을까

미래비전·방역 등 조건 갖췄지만

'尹 연동 지지율' 한계극복 어렵고

당 조직력 부족에 홍보효과 약해

선거마다 '단일화 이슈' 피로감도

안철수(왼쪽 두번째) 국민의당 대선 후보가 13일 국회에서 열린 중앙선거대책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권욱기자안철수(왼쪽 두번째) 국민의당 대선 후보가 13일 국회에서 열린 중앙선거대책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권욱기자






‘과학기술 대통령’ ‘벤처기업가 대통령’. 안철수 국민의당 대선 후보를 일컫는 명칭이다.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에 따른 방역과 경제 위기에 대한 대응이 절실한 현재, 의사이자 기업가 출신인 안 후보의 경력은 대선 후보 가운데 유독 돋보이는 것이 사실이다. 이를 증명하듯 여야의 네거티브 공방 속에 최근 안 후보의 지지율은 대체로 ‘마의 15%’에 근접했다. 13일 공개된 엠브레인·케이스탯·코리아리서치·한국리서치 등 4개사가 공동으로 실시한 전국지표조사(NBS)에서도 안 후보는 14%를 기록했다. 2주 전 6%포인트 상승한 데 이어 이번 주에도 2%포인트가 올랐다.



그럼에도 정치권은 여전히 안 후보에 대해 “‘종속변수’일 뿐 ‘독립변수’가 될 수는 없다”는 냉담한 평가를 내리고 있다. 지지율 상승에 한계가 있다는 얘기다. 전문가들은 네 가지를 요인으로 제시했다.

관련기사



먼저 안 후보의 지지율 상승 동력이 제1 야당 경쟁자인 윤석열 국민의힘 후보의 지지율에 연동된 점을 가장 큰 한계로 꼽았다. 출마 당시 2%에 불과하던 안 후보의 지지율은 줄곧 6~7%대에 머물러왔다. 이후 윤 후보의 배우자 리스크가 불거지면서 지난해 12월 중순을 기점으로 한 달 만에 15%까지 수직 상승한 것이다. 하지만 윤 후보의 지지율이 ‘원팀’ 봉합 등으로 반등하면서 안 후보의 상승세도 주춤해졌다. ‘5-5-5(5대 기술, 5대 기업, 5대 강국) 전략’ 등 미래 비전과 방역 등 전문성을 활용해 강점을 살렸지만 지지율이 ‘박스권’에 갇혔다. 장성철 대구카톨릭대학교 특임교수는 “정권 교체 여론이 워낙 높고 이미 제1 야당 후보가 있는 상황에서 집중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고 평가했다.

국민의당의 조직적 한계도 안 후보의 약점으로 작용하고 있다. 현재 국민의당 소속 의원은 이태규·권은희·최연숙 의원 등 세 명에 불과하다. 지난 2020년 총선과 4·7 보궐선거에서 후보를 내지 않으면서 사실상 전국 조직 시스템이 무너졌다. 야권 통합을 위한 선택이었지만 의원·당원들의 이탈로 지지 기반이 약화됐다. 이에 안 후보가 추진하는 공약이나 활동에 대한 홍보 효과가 상대적으로 거대 양당에 비해 떨어질 수밖에 없다. 대선에서는 지역 홍보를 통해 후보가 얻는 지지율 상승 효과를 거두기가 쉽지 않다는 얘기다. 여기에 안 후보는 높은 2030 지지율에 비해 이번 선거판에서 문화로 자리 잡은 ‘밈(Meme·인터넷에서 유행하는 사진이나 영상)’ 효과도 부족했다.

‘소수 정당’인 만큼 민생 개선 능력에 대한 국민의 의구심도 있다. 거대 양당에 밀려 제대로 된 정책 추진이 불가능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번 대선에서 더불어민주당 복당을 결정한 옛 국민의당 지역위원장 출신 인사 8명이 “지역주의 정치 구조를 혁파하고 역동적인 새로운 정치를 이루려고 했지만 현실 정치의 높은 벽을 넘지 못했다”고 밝힌 것이 그 예다.

출마 때마다 불거지는 ‘단일화 이슈’도 안 후보에 대한 피로감을 키웠다. 안 후보는 최근 5년간 치러진 세 차례의 대형 선거(19대 대선, 제7회 서울시장 선거, 4·7 서울시장 보궐선거)에서 단일화 이슈가 제기돼왔다. 가장 최근인 4·7 보궐선거를 제외하면 단일화에 나서지 않았지만 야권에서는 ‘보수 갈라치기’ 등의 비판이 나왔다.

다만 이번 선거에서는 안 후보와 윤 후보 간 정계 개편 등을 통한 단일화 가능성도 나오고 있다. 최창렬 용인대 교양학부 교수는 “이번 선거에서 최대 변수는 공동정부라고 본다”고 꼽았다. 신율 명지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도 “‘DJP 연합’과 같은 공동정권 또는 ‘헤쳐 모여’ 식의 단일화 합의를 해나가면 안 후보의 지지율이 더 올라갈 수 있다. 군소 정당 후보라는 부담감도 해소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신한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