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문화

백제 유적 몽촌토성에서 왜 고구려 목간이 나왔나

한성백제박물관, 북문터 발굴서 목간 발견

551년 이전 고구려 점령기 행정회의 흔적

고구려 목간 최초, 삼국 목간 중 最古

서울 송파구 몽촌토성에서 국내 최초로 발굴된 고구려 목간. 551년 이전에 제작된 국내 최고(最古)의 목간이며, 백제가 차지했던 한강 유역을 고구려가 점령했음을 입증하는 유물이다. /사진제공=한성백제박물관서울 송파구 몽촌토성에서 국내 최초로 발굴된 고구려 목간. 551년 이전에 제작된 국내 최고(最古)의 목간이며, 백제가 차지했던 한강 유역을 고구려가 점령했음을 입증하는 유물이다. /사진제공=한성백제박물관




백제 유적인 서울 송파구 몽촌토성에서 고구려 목간(木簡)이 출토됐다. 목간은 종이가 상용화되기 이전에 글자를 기록하기 위해 나무를 일정한 모양으로 깎아 만든 도구다. 국내에서 고구려 목간이 출토되기는 처음이며, 국내에서 발견된 가장 오래된 목간일 가능성도 높아 학계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서울시 한성백제박물관은 18일 몽촌토성 북문 터 발굴조사를 진행하던 중 물을 모아 저장하는 집수지 안에서 먹물로 쓴 글자가 있는 목간 1점을 발견했다고 18일 밝혔다. 지난해 4월 발굴된 목간은 길이 15.6㎝, 너비 2.5~2.7㎝, 최대두께 0.4㎝로 손에 잡기 좋은 크기다. 한쪽 면에 한 줄로 큰 글자 6~8자, 우측 하단에 4자 정도의 작은 글자가 남아 있는 상태다.

관련기사



박물관 측은 목간의 제작시기를 밝히기 위해 발견된 집수지의 목재를 대상으로 나이테분석, 방사성탄소연대측정, 이 두 방법을 접목한 위글 매칭(wiggle matching) 등의 자연과학적 연대분석을 진행했다. 그 결과 대략 469년~541년 사이에 고구려가 축조하고 사용한 것임을 확인했다. 글자의 내용을 알기 위해 두 차례에 걸친 판독자문회의 등 기초조사를 진행했으나 “정확한 글자를 판독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는 결론에 도달했다.

그렇다면 왜 4~5세기 백제 초기의 유적에서 고구려 목간이 나왔을까? 한강 유역을 차지하기 위한 백제와 고구려의 세력 다툼에서 그 실마리를 찾을 수 있다. 백제는 고구려의 침략으로 475년에 수도를 오늘날 공주인 웅진으로 옮겼고, 백제 성왕이 551년 한강 유역을 되찾기 전까지는 고구려가 몽촌토성을 점유했다. 유병하 한성백제박물관 관장은 이날 서울경제와의 통화에서 “몽촌토성 북문 터 일원의 조사현장에서는 백제가 떠난 이후 고구려가 수리하거나 새롭게 조성한 도로·성토대지·집수지·건물지·구덩이 등이 확인됐고, 원통형 세발토기·두 귀 달린 항아리·시루·바리·화살촉 등 전형적인 고구려 유물들이 다수 출토됐다”면서 “여러 증거들이 고구려 목간이 확실하다는 점을 뒷받침한다”고 말했다.

이를 토대로 따지자면 목간은 고구려가 몽촌토성을 차지했던 551년 이전에 만들어졌을 가능성이 높다. 이번에 발견된 고구려 목간이 삼국시대를 통틀어 국내 최고(最古) 목간이 된다는 뜻이다. 신라 목간은 함안 성산산성과 신라 왕성인 경주 월성, 사람 얼굴 모양 토기가 발견된 경산 소월리 유적 등에서 나왔다. 백제 목간으로는 부여에서 출토된 ‘구구단’ 목간과 ‘논어’ 목간 등이 있다. 이들은 대부분 6~7세기 유물이다.

유 관장은 이번에 발굴된 고구려 목간의 의미에 대해 “몽촌토성을 점령한 고구려가 문서기록을 병행한 행정회의를 했다는 뜻이기에 고구려 점령기에 대한 물적 증거가 될 수 있다”면서 “집수지 유적 발굴조사가 아직 40% 정도만 진행됐기에 목간이 추가로 발견될 가능성도 있다”고 강조했다. 서울 송파구 방이2동에 48만㎡ 규모로 자리 잡고 있는 사적 몽촌토성 주변에는 풍납토성과 백제 석촌동 무덤 등이 위치하고 있다.


조상인 미술전문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