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安 "과학기술 100만 인재 만들 것"

연구기관 확대·처우 개선 강조

"기업 유치" 지자체엔 재정 권한

안철수 국민의당 대선 후보가 27일 오후 서울 강남구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열린 대선 후보 초청 과학기술 정책 토론회에서 발언하고 있다./권욱 기자안철수 국민의당 대선 후보가 27일 오후 서울 강남구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열린 대선 후보 초청 과학기술 정책 토론회에서 발언하고 있다./권욱 기자




안철수 국민의당 대선 후보가 27일 국내 연구개발(R&D) 발전을 위해 “우리나라 과학기술 인력이 50만 명으로도 부족하다. 장기적으로 100만 명까지 확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를 위해 출연 연구기관 규모 확대, 일자리 및 처우 개선 등을 약속했다.



안 후보는 이날 서울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열린 대선 후보 초청 과학기술 정책 토론회에서 “민간 출연 연구기관이 1만 명 정도밖에 되지 않는다. 가능하면 출연연 규모는 5000명으로 키우고 싶다”며 “그렇게 해야 국가를 위해서 제대로 된 성과가 나오고 세계적인 성과도 나온다. 그런 방향의 생각은 분명하고 숫자에 대해서는 계산해서 말씀드리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또 “새로운 분야를 위해 더 노력하려면 연구소 규모를 키워야 한다. 연구소 최소 크기는 5000명”이라며 “5000명이 되면 거의 모든 분야의 전문가들과 전문가를 둘러싼 대학원생, 연구진들이 다 포진해 자연스럽게 융합 연구가 일어난다”고 주장했다.

과학기술 분야 일자리와 처우 개선도 약속했다. 안 후보는 “예전에 박정희 대통령이 외국에서 잘 근무하고 있는 능력 있는 분들을 몇 배나 주고 데려와 투자를 많이 했다”며 “우리나라를 잘살게 만든 배경인 것처럼 연구원들이 일할 수 있는 자리들을 지금보다 훨씬 더 늘려야 한다고 생각한다. 일할 수 있는 여건들을 국가에서 투자하고 확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5개 초격차 기술 확보를 위해서는 지방자치단체의 민간 기업 유치도 중요하다고 봤다. 안 후보는 “다음 정부에서는 중앙정부가 독점하고 있는 법률적 권한 재정 권한을 지방에 주는 것을 고려하겠다. 민간 기업을 스스로 유치할 수 있는 만큼 주는 게 맞다”며 “지금까지 정부가 공기업을 내려보냈는데 지역 발전에 도움이 안 된다”고 지적했다.

이어 “지자체마다 능력이라는 게 한계가 있어서 서로 치열하게 경쟁하면서 아마 최소한 하나 정도는 유치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이 든다”며 “제대로 된 민간 기업을 지자체가 유치할 수 있으면 일자리가 생기고, 지역 졸업생들이 취업하고, 지역 경제발전의 선순환을 이룰 수 있다”고 강조했다.


신한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