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비임금근로자 비중 23.9% 역대 최저

비임금근로자, IMF 외환위기 이후 23년 연속 하락세










지난해 국내 근로자 중 자영업자 등 비(非)임금근로자 비중이 역대 최저 수준으로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IMF 외환위기 직후인 1999년 이후 23년 연속 하락세를 이어갔다.

3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자영업자와 무급가족종사자를 합한 비임금근로자는 652만명으로 전체 근로자의 23.9%였다.

무급가족종사자는 임금을 받지 않고 자영업자의 사업체 등에서 일하는 가족이나 친척을 말한다.

비임금근로자 중 자영업자가 551만3000명으로 전체 근로자의 20.2%였고, 무급가족종사자가 100만7000명으로 3.7%였다.

임금근로자는 2천75만3천명으로 전체 근로자의 76.1%에 달했다.



지난해 전체 근로자 중 비임금근로자가 차지하는 비중은 관련 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1963년 이래 가장 낮은 것이다.

관련기사



이 비중은 1964년 69.3%로 정점을 찍은 뒤 줄곧 하락해 1984년(47.1%) 처음으로 50% 선 아래로 떨어졌다.

이후 하락세가 이어졌고 IMF 외환위기 직후인 1999년부터 지난해까지는 23년 연속 하향 곡선을 그렸다.

이 비중이 하락세를 보인 것은 자영업자 등 비임금근로자는 정체를 보인 반면 임금근로자는 많이 늘었기 때문이다.

지난해 비임금근로자 652만명은 50년 전인 지난 1971년(602만4000명)과 비교하면 8.2% 늘어나는 데 그쳤다. 20년 전인 2001년(795만5000명)보다는 18.0% 줄었다.

반면 임금근로자는 1971년 392만3천명에서 지난해 2천75만3000명으로 429.0% 증가했다. 20년 전인 2001년(1365만9000명)보다는 51.9% 증가한 것이다.

국내에서 비임금근로자 비중은 갈수록 낮아지고 있지만 주요 선진국과 비교하면 아직 높은 편이다.

2019년 기준 국내 비임금근로자 비중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5개 회원국 중 8위였다.

미국(6.1%)의 4배가 넘고 일본(10.0%)의 약 2.5배 수준이다.

세종=권혁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