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정치일반

권익위 "지난해 법령 406건서 부패유발 우려…개선 권고"

'중앙행정기관의 제·개정 법령 부패영향평가' 결과 발표해

전현희 국민권익위원장이 지난달 25일 정부서울청사에서 브리핑을 하고 있다./연합뉴스전현희 국민권익위원장이 지난달 25일 정부서울청사에서 브리핑을 하고 있다./연합뉴스




지난해 중앙행정기관의 제·개정 법령 가운데 406건에서 부패유발 요인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해충돌 가능성 또는 재량남용 등의 우려가 있어 국민권익위원회가 주무부처에 개선을 권고했다.



권익위는 지난해 중앙행정기관의 제·개정 법령 1,763개를 대상으로 한 부패영향평가 결과를 8일 발표했다. 평가 결과 총 182개 법령에서 부패유발 요인 406건이 발견됐다. 권익위는 지난 2006년부터 정부가 법령을 입안하는 단계부터 부패유발 요인을 분석·평가하고 문제가 예상될 경우 법령 개선을 권고하고 있다.

관련기사



개선대상을 유형별로 살펴보면 이해충돌방지 관련 내용이 31.3%로 가장 많았다. 또 행정의 예측 가능성 관련 사항이 20.2%, 재량남용 방지 관련 사항이 19.2%로 나타났다. 법령 분야별로 보면 국민 생활과 밀접한 환경보건 관련 법령이 29.7%를 차지했고, 산업개발(21.4%), 재난·재해·안전 관련 일반행정 법령(20.9%)의 비중도 높았다.

주요 권고 사례는 △코로나19 영업손실보상 심의위원회의 ‘위원 제척기준 및 기피규정’ 구체화 △구급차 등 운용자의 명의 대여금지 위반에 대한 행정처분 기준 구체화 △다중이용업소에 대한 화재위험평가 검증절차 및 재평가 규정 마련 등이다. 이 가운데 코로나19 영업손실보상 심의위는 이해관계가 있는 위원을 배제하도록 해 소상공인 지원의 공정성을 높인 것으로 평가된다.

전현희 권익위원장은 “앞으로도 부패가 발생하기 전 근본 원인을 체계적으로 진단·처방하겠다”고 말했다.


강동효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