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광주 붕괴사고 실종자 수색 마친 현장 "책임자 처벌 등"…수사 본격화 전망

경찰·국토부 등 9일 합동 현장 확인…과학적 증명 결과 나오면 신병처리 예상

현대산업개발 현장사무실 압수수색 /사진=연합뉴스현대산업개발 현장사무실 압수수색 /사진=연합뉴스




광주 HDC현대산업개발 화정아이파크 붕괴사고 실종자 수습이 종료됨에 따라 그동안 수색에 우선순위가 밀려 진행하지 못한 현장 조사가 본격화될 전망이다.



경찰과 국토교통부 건설사고조사위 등은 현장 확인 결과를 토대로 붕괴의 원인을 분석하고, 책임자의 과실을 규명해 신병 처리도 진행한다.

8일 광주 서구 신축아파트 붕괴사고 수사본부(광주경찰청)와 국토교통부(건설사고조사위원회) 등에 따르면 이날 마지막 피해자가 수습돼 6명 실종자에 대한 수색이 종료됨에 따라 붕괴 현장 조사를 본격화한다.

경찰 수사본부는 오는 9일 노동부, 건설사고조사위원회(이하 사조위) 등과 합동으로 붕괴사고 현장에서 압수수색 영장을 집행하는 방식으로 현장 조사·확인에 착수한다.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은 현산 현장소장과 안전부장 등과 동행해 현장에서 공사 진행 과정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청취할 예정이다.

이미 관련자 진술을 청취한 사조위는 별도로 붕괴사고가 난 201동에서 콘크리트 시료를 채취·확보해, 양생이나 재료 불량 등 가능성을 분석한다. 경찰은 국과수 등과 합동으로 붕괴 현장에 대한 별도의 현장 감식 일정을 조율할 예정이다.



붕괴사고 현장은 약 한 달간 실종자 수색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수색을 위한 잔해물 제거와 안전 조치 등으로 상당히 훼손된 상태다.

관련기사



그러나 경찰은 사고 직후부터 영상과 사진 등 다양한 방식으로 현장 상황이 증거로 확보된 만큼 붕괴사고 직후 현장 상황을 파악하는 데 무리가 없을 것으로 보고 있다.

수색 상황에 미뤄왔던 현장 확인 절차가 완료되면 원인 분석에 속도를 낼 것으로 관측된다.

원인에 대한 과학적 증명이 중간 결과로라도 나오면, 경찰은 과실 책임이 입증된 입건자들을 본격적으로 신병 처리할 예정이다.

수사본부는 현재까지 관련자 약 60명을 조사해 현산 관계자 6명, 감리 3명, 하청업체 관계자 2명 등 총 11명을 업무상 과실 치사상, 건축법 위반 등 혐의로 입건해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

압수수색도 현산 본사를 포함해 45곳에서 진행해 증거를 확보했다. 현재까지 경찰은 사고의 주요 요인으로 공사 과정의 ▲동바리(지지대) 미설치 ▲역보(수벽) 무단설치 등을 지목하고 있다.

따라서 당분간 수사는 현재까지 규명된 과실 요인에 대한 입건자들의 연관성을 규명하는 데 집중될 전망이다. 하청업체 관계자들은 동바리 철거는 현산 측의 지시에 따른 것이고, 역보 설치는 현산과 협의한 일이라고 진술하고 있다.

반면 현산 측은 동바리 철거는 몰랐고, 역보 설치는 구조검토 대상이 아니라며 과실 관련 혐의를 전면 부인하고 있는 상태다. 한편 현장 관계자들 외 처벌 대상에 현산 본사 측도 포함될지도 향후 관심이 집중될 전망이다.

수사본부 관계자는 "수색이 종료된 만큼 현장 확인이 가능해지고, 현산 관계자들의 소환 조사도 더욱 수월해져 좀 더 적극적인 수사가 가능해졌다"며 "성역 없는 강도 높은 수사로 붕괴 사고의 원인을 철저히 규명하고 관련자들의 책임을 물을 방침이다"고 밝혔다.


광주=김선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