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李 지지율·安 선거비 따라가는 '단일화의 시간'

尹, 李 박스권 탈피 땐 압박 커져

安은 투표 다가올수록 비용 부담

양측 '변수'로 전격 담판 가능성

윤석열(오른쪽) 국민의힘 대선 후보와 안철수 국민의당 대선 후보가 지난달 17일 서울 중구 신라호텔에서 열린 '불교리더스포럼 제5기 출범식'에서 기념촬영이 끝난 뒤 이동하고 있다./서울경제DB윤석열(오른쪽) 국민의힘 대선 후보와 안철수 국민의당 대선 후보가 지난달 17일 서울 중구 신라호텔에서 열린 '불교리더스포럼 제5기 출범식'에서 기념촬영이 끝난 뒤 이동하고 있다./서울경제DB




야당의 전직 의원이나 일부 시민 단체가 야권 단일화에 대한 압박의 수위를 높이는 것은 ‘골든타임’을 놓쳐 단일화의 효과가 사라질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실제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와 안철수 국민의당 대선 후보는 단일화를 두고 한발 물러선 태도를 고수하고 있다. 이 때문에 단일화 논의가 실제 이뤄질지, 그리고 언제 본격화할지에 정치권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윤 후보는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의 지지율이 상승할 경우 단일화의 필요성이 커질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반면 안 후보는 투표일이 다가올수록 선거비용 지출에 대한 부담이 커지면서 단일화 압박을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9일 정치권에 따르면 윤 후보가 단일화에 집중할 주요 변수 중 하나로 이 후보의 지지율이 꼽히고 있다. 윤 후보는 각종 여론조사에서 이 후보와 박빙이거나 근소하게 앞서 있다. 윤 후보가 단일화에 다소 여유를 보일 수 있는 이유다. 만약 이 후보가 박스권을 벗어나 40%대로 치솟으면 상황이 달라진다. 안 후보의 5~10% 지지율이 절실해지는 것이다. 이는 안 후보의 몸값 상승으로 이어져 지분 협상에서도 불리한 처지에 놓이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이렇게 되면 정권 교체층의 단일화 요구도 폭발해 단일화 테이블에 등 떠밀려 나올 가능성이 높다.

관련기사



안 후보는 선거비용이 단일화에 나서게 할 변수로 거론된다. 안 후보의 지지율은 현재 10% 내외를 기록하고 있다. 이 즈음 30%대였던 지난 대선과는 큰 차이가 있다. 지난 대선 때는 득표율 21.4%를 기록해 선거비용 460억 원 전액을 보전받았다. 현재는 전액 보전 기준인 15%는 물론 반액 보전 기준인 10%를 넘을지도 불안한 상황이다.

선거운동 기간이 길어질수록 비용에 대한 부담이 커질 수밖에 없다. 윤 후보와 단일화하더라도 국민의힘으로부터 비용을 보전받을 수는 없다. 안 후보 측은 이미 온라인 광고와 유세차 등을 모두 계약했다. 선거비용은 통상 은행에서 대출을 받아 충당하는 만큼 단일화가 늦어지면 빚더미에 앉을 위험이 있다. 후보 등록 직후 지급받을 국고보조금도 의석이 3석이어서 십수억 원에 불과할 것으로 보인다.

양 후보 측은 각자의 변수로 인해 단일화 압박이 커질 경우 전격 담판에 나설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윤 후보는 “서로 신뢰하고 정권 교체라는 방향이 맞으면 단 10분 안에도, 커피 한 잔 마시면서도 끝낼 수 있는 것”이라며 자신감을 나타냈다. 윤 후보는 4자 대결도 선택지로 두고 숙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안 후보는 윤 후보의 발언에 언짢은 감정을 드러내며 신경전을 벌였다. 그는 기자들과 만나 “(단일화는) 10분 만에 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라고 생각한다”며 “다소 일방적인 생각을 가지고 계신 것이 아닌가 우려된다”고 말했다.


조권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