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美양적완화에 신흥국 증시 불안…위기 극복보다 불평등만 키웠다"

■한은 부국장, 경제학 공동학술대회서 발표

韓 등 변동환율제 국가에 더 영향

美 긴축 본격화로 변동성 확대 경고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코로나19 이후 시행한 양적 완화 조치가 위기 극복보다는 신흥국을 중심으로 주식 변동성만 키우면서 세계적인 불평등을 초래했다는 지적이 나왔다. 향후 연준이 자산 매입을 축소하고 정책금리를 인상하는 등 긴축에 본격 나서면 신흥국 주식시장의 변동성이 확대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11일 박준서 한국은행 국제협력국 부국장은 ‘연준의 금리정책 및 양적 완화’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글로벌 금융위기와 코로나19를 전후로 미 연준이 시행한 금리정책과 양적 완화 등 통화정책이 미국과 전 세계 23개국에 미친 영향을 분석한 결과 미국 자체보다 다른 나라의 금융 변수에 더 유의한 영향을 줬다는 설명이다. 이번 보고서는 경제학 공동 학술 대회에서 발표됐다.



보고서에 따르면 연준의 양적 완화는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만 해도 선진국과 신흥국 구분 없이 정책금리·주가·환율에 모두 영향을 끼쳤다. 하지만 이번 코로나19 사태에서는 주가지수를 중심으로 신흥국에 큰 영향을 준 것으로 관찰됐다. 정작 코로나19 확산 초기인 지난 2020년 2월 불거진 국제금융시장의 미 달러화 유동성 위기는 연준의 통화 스와프 체결 두 달 만에 진정됐다. 결국 위기 극복에는 큰 도움이 되지 않은 채 신흥국 주가만 끌어올렸다는 설명이다.

관련기사



특히 양적 완화는 우리나라와 같이 외환시장 개입 정도가 큰 변동환율제 채택 국가의 금융시장에 더 큰 영향을 줬다는 분석이다. 결국 21세기 이후 두 차례 경제위기에 대응하는 과정에서 시행한 양적 완화는 세계적인 자산 가격 급등을 통해 최상위 계층과 그 밖의 계층 간 소득 불평등 확대로 이어졌을 개연성이 크다는 지적이다. 여기서 한발 더 나아가 사회 통합 저해 등 장기적 영향까지도 우려되는 상황이다.

문제는 미국 내 인플레이션 우려 등으로 연준의 긴축 속도가 빨라지고 있다는 것이다. 양적 완화가 금융시장에 끼친 영향이 큰 만큼 향후 테이퍼링(자산 매입 축소) 조기 종료나 정책금리 인상이 이뤄지면 신흥국 증시의 변동성이 상당히 커질 수 있다는 경고도 내놓았다.

박 부국장은 “코로나19 이후 더 많은 유동성이 공급되면서 기대인플레이션 관리는 어렵게 됐고 실질금리는 더 하락했다”며 “미국과 같은 국제금융 중심 국가는 위기 대응 시 제로금리와 양적 완화의 동시 실행이 가져다주는 편익과 비용을 감안해 통화정책을 실행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조지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