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단독] 강남 첫 '공공재건축' 나오나…신반포7차, 고밀개발 추진

통합재건축 불발에 방향 틀어

조합원 설명회 등 절차 진행

용적률 최대 500% 고밀개발

가구 수 증가·사업성 높아져

상징성 커 참여 잇따를 수도





서울 강남권에서 첫 ‘공공재건축’에 참여하는 단지가 나올 것으로 전망된다. 공공재건축은 정부의 적극적인 장려에도 별다른 호응을 얻지 못했지만 상징적 의미를 갖춘 강남권 단지가 참여할 경우 주요한 공급 방식으로 관심을 모을 것이라는 기대감이 나오고 있다.

14일 한국토지주택공사(LH)와 정비 업계 등에 따르면 서울 서초구 ‘신반포7차’ 재건축조합은 최근 조합원들을 대상으로 공공재건축 설명회를 진행하고 LH와 업무 협의에 나서는 등 공공재건축 추진을 위한 제반 절차를 진행하고 있다. 두 차례의 설명회 등을 거치면서 주민 절반 이상이 공공재건축 방식에 동의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320세대 규모의 신반포7차는 인근 한신공영 빌딩과의 통합 재건축 추진이 서울시 문턱을 넘지 못하는 등 지지부진한 상황에서 이를 타개할 방안으로 공공재건축을 후보에 올렸다. 막혀 있던 사업의 활로를 찾으면서 용적률, 층수 규제 완화 등을 받아 고밀 개발로 사업성을 높이겠다는 계산이다. 강남권 단지들이 공공재건축을 외면한 주원인이었던 ‘임대 가구 기부채납’ 또한 자체 분석 결과 오히려 줄어든다는 예상이 나왔다.

관련기사



조합이 조합원들에게 배포한 공공재건축 설명 자료에 따르면 공공재건축으로 추진 시 용적률 최대 500%를 적용 받아 가구 수가 기존에 계획했던 810가구에서 1045가구로 늘어난다. 총 수입은 1조 2417억 원에서 1조 6804억 원으로 약 4300억 원 늘어나는 반면 임대주택은 늘어난 용적률의 50%를 계획하는 만큼 기존안(161가구)보다 오히려 34가구 줄어든 127가구가 된다고 봤다. 일각에서는 LH가 ‘강남권 첫 참여 단지’라는 상징성을 감안해 상당한 인센티브를 부여할 것이라는 관측도 제기하고 있다.

다만 반대하는 주민도 많은 상황이어서 조합은 신중한 반응이다. 조합 관계자는 “조합 내 공공재건축을 희망하는 조합원들이 있어 추진 가능성을 검토하는 단계”라며 “현재로서는 구체적인 사업 방식이나 일정 등이 확정된 것은 아니다”라고 전했다. LH 관계자는 “참여 가능성을 살펴보면서 컨설팅을 하는 중”이라고 설명했다.

공공재건축은 정부가 지난 2020년 8·4대책을 통해 발표한 공급 대책 중 하나로 LH 등 공공이 재건축사업에 참여해 용적률 등 각종 규제를 완화하고 주택 공급을 기존 대비 1.6배까지 확대하는 사업이다. 용적률 상향으로 늘어난 가구 수의 일부를 비롯해 개발 이익 일부를 기부채납 받는 방식이다. 규제 완화 등을 내걸었지만 기부채납 증가 등에 대한 거부감 등으로 강남권 단지들은 잇달아 불참을 선언했다.

신반포7차가 실제 공공재건축에 나설 경우 이 방식으로 사업을 추진하려는 단지들이 잇따를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송승현 도시와경제 대표는 “강남권 단지들의 경우 사업성에 대한 기본적인 최소 기대치가 있기 때문에 참여 단지가 나온다고 크게 달라지지 않더라도 리모델링을 검토하는 단지를 비롯해 사업성이 다소 떨어지는 조합들은 괜찮은 방법이라고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진동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