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초 이후 시장금리가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다. 그 배경은 크게 네 가지로 볼 수 있다.
첫째, 인플레이션이 지속된 데 따른 채권시장의 부담이다. 먼저 지난해 11월 이후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인 오미크론이 급격하게 확산되면서 글로벌 공급 병목현상 완화가 지연되고 있고 탄소 중립 등의 구조적 문제와 가파른 수요 측면의 회복, 우크라이나를 둘러싼 지정학적 이슈로 원자재 가격 상승 랠리가 가파르게 이어지고 있다. 국제 유가를 비롯한 원자재 가격은 주요국 인플레이션의 절반 이상을 설명할 수 있는 외생변수다. 여기에 팬데믹(전염병의 세계적 대유행) 이후 수습 과정에서 풀린 과잉 유동성이 유발한 주거비 상승 압력이 시차를 두고 반영되고 있으며 임금-물가 상승의 악순환에 대한 우려도 어느 때보다 높아지고 있다.
둘째, 통화정책 정상화 사이클의 압축적 진행이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올 1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오는 3월 조기 금리 인상을 시사하고 한 번에 0.5%포인트 인상 또는 연속적인 인상 가능성을 부정하지 않았다. 채권시장에서는 연내 4회 이상 인상을 기정사실화로 반영하고 남은 매 회의마다 인상할 것이라는 전망도 제기된다. 하반기에는 대차대조표를 축소하는 양적긴축(QT)도 병행될 가능성이 높다. 미국은 서비스업 중심의 경제구조 특성상 높은 인플레이션이 이어지고 있어 11월 중간선거를 앞두고 행정부의 주문도 강화될 수 있다. 우리나라도 이러한 글로벌 환경에서 자유로울 수는 없다. 인플레이션 지속성과 부동산 시장의 과열은 공통된 고민이며 주요국 정책금리의 가파른 인상은 우리의 중립금리를 상승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 최근 의사록에서 확인된 금통위의 인식을 보면 올해도 1월에 이어 두 차례 수준의 금리 인상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구조적인 저금리를 나타냈던 경제 권역에서의 변화 조짐이다. 그동안 유럽과 일본과 같은 선진국가들은 경제구조와 인구 사회, 채권시장 환경 등의 문제로 저금리 환경이 이어졌다. 이에 따라 정책금리와 국채금리는 제로(0)나 마이너스 권역을 벗어나지 못했다. 그러나 최근 유럽중앙은행(ECB)은 조기 자산 매입 종료와 연내 금리 인상 가능성을 시사하고 영국중앙은행(BOE)은 2월 회의에서 0.25%포인트 추가 인상에 나섰는데 0.5%포인트 인상 의견이 9명 중 4명이나 존재했다. 여기에 일본도 내년에는 정책금리 인상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시장금리도 상승세를 지속하며 독일 분트 10년물 금리는 지난 2019년 상반기 이후 처음으로 플러스로 전환됐고 일본 국채 10년물 금리도 0.2%를 돌파했다.
넷째, 국내외 이벤트 일정에 대한 부담이 이어지고 있다. 국내에서는 연초부터 추가경정예산 편성이 추진되며 금리 상승을 주도했다. 14조 원 규모의 정부안에 대해 여야는 대선을 앞두고 증액을 요구하는 모습이다. 여기에 코로나19 방역 규제로 인한 자영업자와 소상공인 지원이 추가적으로 필요한 점, 포퓰리즘성 공약이 양당 모두 존재하는 점을 감안하면 대선 결과에 따라 여러 차례의 추경이 불가피해 보인다.
일차적으로 3월 초 대선 결과가 확인되기 전까지는 긴장감이 이어질 수 있다. 여기에 미국의 통화정책 정상화 속도 또한 일단 3월 FOMC에서 가늠될 필요가 있어 채권시장이 쉽게 강세로 전환되기는 어려워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