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삼성전자 성과급에 놀란 日 언론, "한국에서 배워라" 충고

/연합뉴스/연합뉴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한국 반도체 기업들의 경영 실적과 성과급 등 직원 보상을 집중 조명한 일본 유력 언론의 보도가 나왔다.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은 최근 "삼성전자는 매년 소속 사업부의 경영실적이 목표를 초과하면 연봉의 최대 50%(6개월 급여) 이내로 초과이익성과급을 지급한다"면서 "지난해 호황이었던 반도체 사업 부문 직원들이 얼마 전 대규모 보너스를 받았다"고 보도했다.

그러면서 닛케이는 지난해 12월 삼성전자가 직원 전원에게 월급 2개월분을 특별격려금으로 전달했고, 지난달 말 3개월치 월급에 해당하는 추가 보너스를 지급했다는 내용을 소개했다.



닛케이는 "이는 지난해 삼성전자가 인텔을 제치고 전 세계 반도체 매출 1위를 기록했기 때문"이라며 "실적 연동 정기 성과급과 별개로 특별 보너스가 지급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아울러 닛케이는 삼성전자가 한국거래소에 제출한 사업보고서를 인용해 한국 삼성 직원 10만9490명의 2020년 평균 연봉이 1억2700만원으로 5년 전과 비교해 26% 증가했다고도 했다. 2021년에는 평균 연봉이 더 크게 늘어났을 것으로 예상했다.

뿐만 아니라 닛케이는 SK하이닉스의 성과 체계 역시 삼성에 뒤지지 않는다는 분석을 내놨다. 그러면서 SK하이닉스가 지난해 실적에 대한 성과급으로 지난 1월말 전 직원에게 월급 10개월분의 특별 상여금을 지급했다는 점을 들었다.

여기에 덧붙여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확실한 직원 보상 체계는 만성적인 기술자 부족 때문에 생겨난 것이라는 해석을 덧붙였다. 세계적인 수요가 계속 증가하고, 첨단개발이나 공장증설 등으로 인재 유치 경쟁이 치열한 반도체 업계의 특성상 특히 천문학적인 연봉을 제시하는 중국 기업과의 스카우트 전쟁에서 인재를 지키려면 처우 개선에 신경 쓸 수밖에 없다는 분석이다.

더불어 닛케이는 일본 정부가 반도체 산업의 재부흥을 내걸었지만 장기 전략은 세우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일본 내에서 전자 대기업들의 반도체 사업 포기나 축소가 이어진 지 10년 이상 지나면서 대학이나 기업에서 반도체 연구를 하려는 사람이 줄어들고 있는 현실을 제대로 파악해야 한다는 것이다.

특히 일본의 경직된 임금 체계도 문제로 꼽았다. 닛케이는 "반도체 산업을 재부흥하려면 경쟁력의 원천인 기술자를 어떻게 확보하고 육성해야 하는지 한국의 사례로부터 배울 것이 많다"고 상황을 짚었다.


김경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