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베이비붐 세대도 ‘플렉스’…코로나 이후 명품 구매 23% 뛰었다

롯데멤버스가 발간한 ‘라임(Lime) 명품 소비 트렌드 리포트’에 따르면 코로나19 확산 전인 2018~2019년 대비 2020~2021년 명품 판매량이 23.0% 증가했다./사진 제공=롯데멤버스롯데멤버스가 발간한 ‘라임(Lime) 명품 소비 트렌드 리포트’에 따르면 코로나19 확산 전인 2018~2019년 대비 2020~2021년 명품 판매량이 23.0% 증가했다./사진 제공=롯데멤버스




코로나19 확산 전인 2018~2019년 대비 확산 후인 2020~2021년의 명품 판매량이 23.0%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20대 뿐만 아니라 50대와 60대에서 구매율이 증가했다.



롯데멤버스는 이 같은 내용의 ‘라임 명품 소비 트렌드 리포트’를 발간했다고 15일 밝혔다.

관련기사



연령대별로는 2018년 대비 2021년 20대의 명품 구매 건수가 70.1%로 가장 많이 늘었고, 50대(62.8%), 30대(54.8%), 60대 이상(41.3%), 40대(19.2%) 순으로 구매 증가율이 높았다.

아울러 라임에서 지난해 11월 22일부터 12월 3일까지 명품 구매자 6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한 결과 명품을 주로 구매하는 채널(중복응답 포함) 1위는 백화점(42.6%)이 차지했다. 그 다음으로는 △프리미엄 아울렛(18.3%) △브랜드 매장(13.3%) △명품 전문 플랫폼(12.2%) △면세점(11.1%) △온라인 종합몰(10.8%) △포털 쇼핑 페이지(9.5%) △해외직구 사이트(8.8%) △편집매장(7.2%) △브랜드 온라인몰(7.1%) 순으로 나타났다.

이밖에 명품 구매 시 중요하게 고려하는 속성으로는 디자인이 여전히 1위로 손꼽혔으나, 2019년 조사 시보다 응답률(-12.5%p)이 다소 떨어졌다. 대신 브랜드 대중성(+4.8%p), 소장가치(+4.7%p), 중고 판매가(+3.3%p) 등 응답이 늘었다. 중고거래나 리셀 등이 활성화되면서 소비자들이 명품을 재테크 수단의 하나로 인식하게 된 영향 때문으로 풀이된다.

김근수 롯데멤버스 데이터사업부문장은 “코로나19 장기화로 보복소비가 늘고, MZ세대의 플렉스 트렌드 영향 등으로 명품 시장 호황이 이어지고 있다”며 “2030세대뿐 아니라 구매력 높은 중장년층의 명품 소비도 눈에 띄게 증가했고, 구매 채널도 온·오프라인을 넘나들며 다각화되고 있다”고 말했다.


백주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