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김원웅 광복회장 자진퇴진 '꼼수'(?) 논란…반대진영 "현 집행부도 물러나라"

광복회 17일 이사회 열고 회장 직무대행 안건 논의해

18일 임시총회서 김 회장 사퇴 등 안건 상정하려하자

개혁모임 "현 집행부 사실상 김 회장과 한통속" 반발

회장 궐위시 부회장이 직무대행토록 규정돼 있지만

개혁모임, 현 부회장 및 이사진 등 불신해 교체 요구

보훈처 뒤늦게 "감독기관으로서 유감" 입장 표명

야당은 대선후 김 회장 사태 재발 방지 논의 예정

여당도 사태 엄중히 주목…대선 쟁점화는 경계

김원웅(오른쪽) 광복회장이 지난 2021년 11월 11일 서울 여의도 광복회관을 방문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를 맞아 환영의 포옹을 하고 있다./사진제공=광복회김원웅(오른쪽) 광복회장이 지난 2021년 11월 11일 서울 여의도 광복회관을 방문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를 맞아 환영의 포옹을 하고 있다./사진제공=광복회





횡령 의혹을 받고 있는 김원웅 광복회장이 16일 자진사퇴 입장을 밝히면서 현 집행부에 대한 동반퇴진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광복회 개혁을 주장하는 회원들 사이에서 공식화됐다. 김 회장이 현 여당의 의원 출신이라는 점에서 광복회 개혁 문제는 다가온 대선 민심에도 적지 않은 이슈가 될 전망이다.

김 회장의 퇴진을 압박해온 일부 광복회원의 모임들은 16일 서울 여의도 광복회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집행부가 함께 물러나야 한다고 주장했다. 현 집행부가 김 전 회장의 부조리를 묵인한 사실상의 공범이라는 게 이들의 주장이다. 이들 모임은 각각 광복회개혁모임, 광복회정상화추진본부, 광복회재건 비상대책모임 등이다. 이들 모임은 회견에서 "이번 사태는 김원웅 단독으로 한 것이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이어서 "이런 일이 벌어질 때까지 (김 회장이 임명한) 집행부가 알고도 묵인하고 방조했다"고 규탄했다.

광복회 집행부는 회장과 부회장, 이사들명으로 구성된다. 원래 광복회 기구 조직편제상 부회장직은 2명, 이사진은 8명(사무총장 1인 포함)으로 구성되도록 돼 있다. 다면 현재 부회장직중 한 자리는 공석이어서 허현 부회장이 홀로 부회장직을 수행 중이다. 이사진도 정원을 다 채우지 못한 채 6명(김정육 사무총장, 김복열·이승봉·윤용황·전지남·최원천 이사)으로만 구성돼 있다. 개혁모임 등은 이들 집행부을 김 회장측 사람들이라고 규정하고 있다.



문제는 회장 궐위시 부회장이 직무대행을 맡도록 정관에 명시돼 있다는 점이다. 있다. 해당 정관을 따르자면 허 부회장이 회장 직무대행을 맡아 신임 회장 선출을 위한 절차를 준비할 수도 있지만 개혁모임 등의 반발을 감안할 때 쉽지 않은 상황이다. 광복회에 대한 감독 권한을 갖고 있는 보훈처 관계자는 “현실적으로 현재의 부회장이 회장 권한대행을 맡기 어려운 상황이어서 추후 광복회가 이사회를 열어 (김 회장의 사퇴에 따른) 권한대행을 누구에게 맡겨 후임 회장을 선출할지 문제 등을 논의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관련기사



광복회가 지난 2021년 5월 13일 제 48차 정기총회를 열고 있다. 당일 총회는 방역을 위해 비대면 화상회의 방식으로 이뤄졌다. /사진제공=광복회광복회가 지난 2021년 5월 13일 제 48차 정기총회를 열고 있다. 당일 총회는 방역을 위해 비대면 화상회의 방식으로 이뤄졌다. /사진제공=광복회


하지만 개혁모임들은 허 부회장 뿐 아니라 현재의 이사진들도 불신하고 있기 때문에 현재의 집행부가 이사회를 열어 권한대행 및 차기 회장 선출 준비 등을 논의하는 것 자체를 신뢰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현 집행부가 모두 물러나 새 집행부를 구성해야 한다는 것이다.

관건은 광복회가 오는 18일 개최하기로 한 임시총회에서 집행부 교체 등의 안건을 상정할 지 여부다. 임시총회 상정 안건은 현 집행부가 이사회 등을 통해 공고하게 되므로 집행부 스스로 물러나겠다고 결단하지 않는 이상 안건이 임시총회에 상정될 수 있을 지는 불투명하다.

이번 임시총회는 앞서 지난 9일 김 회장 퇴진을 주장해온 광복회 대의원 61명중 31명이 임시총회를 요구한 데 따른 것이다. 광복회는 당초 임시총회에서 김 회장에 대한 불신임 여부를 묻는 투표를 진행할 예정이었으나 김 회장이 먼저 자진사퇴하기로 하면서 해당 안건은 사실상 무효화됐다. 이를 놓고 김 회장에 반대하는 진영의 한 관계자는 “김 회장이 애초에 불신임 투표 자체를 무효화하고, 대신 자신과 사실상 한 통속인 사람들로 구성된 현 집행부를 중심으로 차기 회장 선출 절차를 준비시켜 광복회에 대한 자신의 세력과 영향력을 남기려고 꼼수를 부린 것이란 생각이 든다"며 “그래서 우리들이 집행부 교체를 요구하게 된 것”이라고 전했다.

이런 가운데 보훈처는 16일 김 회장의 자잔사퇴 입장 공개한 후에야 뒤늦게 입장자료를 내고 ‘지도·감독기관으로서 유감’을 표명했다. 이어서 “광복회가 조속히 정상화될 수 있도록 지도·감독해 나가겠다”며 “광복회는 정관에 따라 이사회를 통해 회장 직무대행을 지명하고, 이후 총회를 거쳐 새로운 회장을 선출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보훈처에 따르면 광복회는 오는 17일 이사회를 열고 궐위 사태에 따른 회장 직무대행 지명을 논의하고, 그 결과에 따라 이튿날 임시총회에서 김 회장 사퇴 결의의 건을 상정할 예정이다. 이어서 오는 5월중 정기총회를 열어 새 회장을 비롯한 임원을 선출하고, 예·결산안을 보고할 계획이다.

한편 여야는 이번 사태와 관련해 후속 대응 방안을 대선 이후 논의해보겠다는 입장이다. 야당은 광복회에 대한 지도·감독 권한을 갖고 있는 보훈처가 이번 사태를 사실상 방기한 것은 아닌지, 아울러 현재의 지도 및 감독권한에 취약점이 있다면 어떻게 보완할 지에 초점을 맞춰 입법방안 등을 검토할 전망이다. 여당 역시 이번 사태를 엄중한 시각으로 바라보고 있으며 자칫 해당 사안이 정쟁화에 이용돼 대선 선거전 등에 악용되지 않도록 경계하는 분위기다.


민병권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