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임신부 백신 맞으면 아기에 '강한' 면역 생겨" 美연구 내용보니

사진은 기사 내용과 무관함/이미지투데이사진은 기사 내용과 무관함/이미지투데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을 맞은 엄마에게서 태어난 아기는 백신을 접종하지 않은 엄마의 아기보다 코로나19로 입원할 위험이 60% 정도 낮다는 미국 연구진의 분석 결과가 나왔다.



15일(현지시간) AFP통신 보도에 따르면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 데이나 미니-델먼 연구원은 지난해 7월부터 올 1월까지 국내 20개 소아과센터에 출생 후 6개월 안에 코로나19로 입원한 아기 176명과 다른 이유로 입원한 203명에 대해 엄마의 백신 접종 여부에 따른 입원 위험 등을 비교해 이런 결과를 얻었다.

지금까지 임신부가 백신을 맞으면 항체가 태만이나 모유를 통해 태아에게 전달돼 아기에게도 면역력이 생길 것으로 추정돼 왔지만 이를 뒷받침하는 연구 결과는 거의 없었다.



이에 대해 미니-델먼 연구원은 "백신을 접종한 임신부의 아기가 출생 후 6개월 이내에 코로나19로 입원할 확률은 백신 미접종 임신부 아기보다 61%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주장했다.

관련기사



코로나19로 입원한 아기의 84%는 백신 미접종 임신부에게서 태어난 아기였고, 코로나19로 숨진 아기 1명도 백신 미접종 임산부의 아기였다.

한편 임신 중 백신을 접종한 시기도 아기의 면역력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신 후기에 2차례 백신을 접종하면 보호 효과가 80%로 초기에 접종한 경우(32%)보다 훨씬 높았다.

이와 관련, 미니-델먼 연구원은 "백신 접종 후 시간이 흐르면서 항체 수준이 감소하는 것과 일치하는 것"이라면서도 "중요한 것은 엄마와 아기 모두를 보호하기 위해 어떤 단계에서든 백신을 접종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연구팀은 "해당 연구가 백신 보급 초기에 시작됐고, 임신 전에 백신을 맞은 임신부의 아기들은 연구에 포함되지 않은 한계가 있다"면서 "향후 연구에서 이에 대한 분석도 필요할 것"이라고 밝혔다.

미니-델먼 연구원은 "임신 초기 3개월 사이에 백신을 접종한 경우 임신 후기에 추가 접종(부스터샷) 대상이 될 수 있다"면서 "이 연구의 핵심은 엄마의 백신 접종이 실제로 태아 보호에 중요한 방법이라는 것"이라고 말했다.


김경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