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보험

일단 삼성화재부터 車보험료 1.2% 인하

4월11일 개시 계약분부터 적용

손해율 개선·역대급 실적 영향

인하 압박 거세지자 결국 백기

비슷한 수준서 하향조정 이어질듯





삼성화재가 오는 4월 자동차보험료를 1.2% 내리기로 하면서 다른 손해보험사들도 비슷한 수준의 인하 폭을 검토하고 있다. 코로나19로 차량 운행량이 줄면서 손해율이 개선된 데다 금융사의 역대급 실적과 성과급 잔치 등으로 보험료 인하를 요구하는 여론이 높아지자 손보사들이 결국 백기를 든 모습이다.



삼성화재는 개인용 자동차보험료를 평균 1.2% 인하하기로 결정했다고 16일 밝혔다. 삼성화재는 전산 시스템 등 준비를 거쳐 4월 11일 책임 개시 계약부터 인하된 보험료를 적용할 계획이다. 보험료율 검증에 따라 이보다 늦어질 수도 있다. 자동차 보험료 조정은 2020년 1월 3%대 인상 이후 2년 만이다.

관련기사



삼성화재는 코로나19 장기화로 차량 운행량이 줄고 사고가 감소하면서 자동차보험 손해율이 개선된 효과를 고객과 나누고자 보험료 인하를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삼성화재 측은 “자동차보험 누적 적자 및 정비 요금 등 보험 원가 상승 요인이 지속되면서 그동안 보험료 조정에 신중했으나 대다수 국민의 고통이 가중하는 상황을 고려해 코로나19로 인한 손해율 개선 부분을 보험료에 반영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자동차보험은 각 사의 상품 구조가 거의 비슷하고 온라인(다이렉트) 판매 채널의 가격 경쟁도 치열하다. 이 때문에 점유율 1위 삼성화재가 보험료 인하를 단행하면 주요 경쟁사들도 비슷한 폭으로 보험료를 잇따라 조정할 것으로 예상된다. 삼성화재·현대해상·DB손해보험·KB손해보험 등 4대 주요 손해보험사의 자동차보험 시장점유율을 합치면 85% 수준이다. 다른 손보사 관계자는 “삼성화재와 비슷한 수준의 인하를 검토 중”이라며 “정확한 인하 폭과 반영 시기는 미정”이라고 말했다.

지난해 코로나19에 따른 이동량 감소 등으로 자동차보험이 흑자를 기록하고 손보사들이 역대 최대 실적을 달성하자 보험료 인하에 대한 목소리가 높았다. 지난해 주요 4개사의 자동차보험 손해율은 79.6∼81.5%로 잠정 집계됐다. 자동차보험의 손익분기점은 손해율 80%선으로 알려졌다.

손해보험 업계는 최근까지 보험료 조정에 신중한 모습이었다. 지난해 흑자가 코로나19라는 특이 상황에서 발생했고 지난해 말 정비 수가가 4.5% 인상됐으며 지난 10년간 누적 적자액이 9조 원에 이르는 운영 실태 등을 고려할 때 조금 더 상황을 지켜봐야 한다는 입장이었다. 실제로 지난 5년간 자동차보험이 흑자를 낸 해는 2017년과 2021년뿐이다. 2018∼2020년에는 손해율 85.7∼92.9%를 기록해 2020년 1월에는 보험료가 3.3∼3.5% 인상됐다.


김현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