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제조기업 세 곳 중 한 곳은 번 돈으로 이자도 못갚아

산업연구원 '산업과 기업의 부실징후 변화와 시사점' 보고서

여의도 전경. 서울경제DB여의도 전경. 서울경제DB




수입으로 이자조차 갚기 어려운 제조기업이 최근 10년간 전체의 3분의 1 수준으로 증가했다. 또 내수·수출 중 적어도 하나가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한 부실징후 제조업종의 비중도 한때 79%까지 높아졌다.



17일 산업연구원의 ‘산업과 기업의 부실징후 변화와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외감기업(정기적으로 외부 회계법인의 정기 감사를 받아야 하는 기업)의 이자보상배율이 100% 미만인 부실징후 기업군 비중은 지난 2009년 22.1%에서 2020년에는 32.8%로 늘어났다. 상장사는 30.4%에서 39.4%로 확대됐다. 2020년 부실징후 기업군 비중은 글로벌 금융위기 때보다도 높았다. 아울러 이자보상배율이 100% 미만인 재무적 부실에 더해 영업이익도 마이너스를 보이는 기업의 비중 역시 2010년 10.3%에서 2020년 25.5%로 늘었다.

관련기사





연구원은 내수와 수출 중 적어도 하나가 마이너스 성장을 하는 업종을 부실징후 산업군으로, 내수와 수출이 모두 플러스 성장을 하는 업종을 양호 산업군으로 나눠 분석한 결과 부실징후 산업군의 실질생산액이 제조업 전체의 실질생산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10년 29.1%에서 2019년 78.7%로 크게 상승했다. 반면 양호 산업군의 비중은 같은 기간 70.9%에서 21.8%로 대폭 하락했다.

글로벌 금융위기 때인 2009년, 경기 호조기인 2012년, 2017~2020년의 외감기업 동향을 보면 양호 산업 영역에서 활동하는 기업이 점차 줄고 부실징후 산업 영역에서 활동하는 기업은 늘었다. 특히 2020년에는 부실징후 산업 영역에 속하는 기업들이 금융위기 때보다도 많았다. 연구원은 “향후 경제 여건이 변화돼 금리가 인상된다면 그간 저금리와 코로나19 특별 금융에 의존해 온 부실징후 기업 중 적어도 일부는 더 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면서 “산업·기업 구조 조정 압력에 미리 대비해야 한다”고 밝혔다.


세종=우영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