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메타버스로 기업 육성하고 주민 교육도 해요"

메타버스 생태계 구축하는 지자체

부산시, 허브센터·체험공간 조성

디지털신산업 활성화·인재 양성

충청권, 핵심기술 연구개발 집중

서울시 등은 교육 프로그램 운영

"일회성 아닌 지속적 활용 필요"

부산시가 메타버스 플랫폼에 구현한 부산관광기업지원센터. 사진 제공=부산시부산시가 메타버스 플랫폼에 구현한 부산관광기업지원센터. 사진 제공=부산시




서울 중구교육지원센터가 개최한 워크숍 프로그램에서 참가자들이 가상현실(VR) 기기를 활용해 메타버스를 체험하고 있다. 사진 제공=중구교육지원센터서울 중구교육지원센터가 개최한 워크숍 프로그램에서 참가자들이 가상현실(VR) 기기를 활용해 메타버스를 체험하고 있다. 사진 제공=중구교육지원센터


초등학생들이 전북 완주군이 진행한 메타버스 워크숍 프로그램에서 메타버스 플랫폼 ‘로블록스’를 실습하고 있다. 사진 제공=완주군초등학생들이 전북 완주군이 진행한 메타버스 워크숍 프로그램에서 메타버스 플랫폼 ‘로블록스’를 실습하고 있다. 사진 제공=완주군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서비스 확산으로 3차원(3D) 가상세계 ‘메타버스’가 핵심 플랫폼으로 부상하면서 지방자치단체들이 앞다퉈 메타버스 활용에 뛰어들고 있다. 메타버스 전문기업과 산업 생태계를 육성하기 위한 조직을 설치하는 한편 인력 양성과 주민 교육 프로그램을 도입하는 움직임도 활발하다.



17일 각 지자체에 따르면 부산시는 내달 부산형 메타버스산업 생태계 조성 연구용역 결과가 나오면 메타버스에 시 정책방향을 담은 종합계획을 수립할 계획이다. ‘부산형 메타버스 생태계 로드맵’을 통해 체계적으로 산업을 육성하고 ‘메타버스 허브센터’를 구축해 관련 기업을 육성하고 인재를 양성하는 것이 핵심이다.

부산시는 메타버스 등 디지털 신산업 기반을 조성해 관련 산업을 활성화하는 ‘디지털산업 육성 및 지원 조례’(가칭) 제정도 추진 중이다. 송정해수욕장에 메타버스 가상체험공간을 조성하고 시민이 참여하는 메타버스 서비스를 조기에 구현한다는 계획이다.

광주시는 메타버스 융합산업 육성을 위한 ‘메타버스 연구기획 태스크포스(TF)팀’을 구성했고 전북도는 오는 4월 발표를 목표로 메타버스 육성에 대한 연구용역을 추진하고 있다. 경기도와 경기도콘텐츠진흥원도 최근 메타버스를 도정에 도입하기 위한 ‘경기도 메타버스 정책 연구용역’을 발주했고 인천시는 지자체 최초로 메타버스와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한 확장현실(XR) 플랫폼을 구축 중이다.



충청권 4개 지자체(대전·세종시, 충남·충북도)는 대덕특구를 중심으로 메타버스 등의 핵심 기술을 연구개발하고 지자체에서 실증해 확산하는 생태계를 구축한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등 대덕특구 연구기관과 메타버스 생태계의 성공적 구축을 위한 협의체도 결성해 운영 중이다.

관련기사





메타버스 열풍에 맞춰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지자체도 늘고 있다. 서울시 산하 서울시50플러스재단은 50세 이상 중장년을 대상으로 다음달부터 메타버스 플랫폼인 게더타운·이프랜드·제페토를 실습하는 교육과정을 진행한다. 앞서 서울 강서·관악구는 지난해 12일부터 메타버스 실습 교육과정을 선보였고 경기 남양주시도 관련 프로그램을 진행 중이다.

학생을 대상으로 메타버스 교육과정을 선보이는 지자체도 잇따르고 있다. 서울 강남구는 지난해 10월 초·중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메타버스 교육을 진행해 큰 호응을 얻었고 전북 완주군은 최근 초등학생 4~6학년을 대상으로 메타버스 기반 게임 플랫폼을 활용한 메타버스 워크숍을 열었다.

오연주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책임연구원은 “코딩과 인공지능의 중요성이 커지는 상황에서 지자체들이 메타버스 교육을 진행하고 있는 점이 긍정적”이라며 “텍스트 중심 교육에서 벗어나 아이들에게 다양한 몰입감과 대체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고 말했다.

시장조사업체 PwC에 따르면 지난해 1485억 달러 규모였던 글로벌 메타버스산업은 향후 10년간 연평균 40% 성장해 오는 2030년 1조 5000억 달러에 달할 전망이다. 전문가들은 지자체의 메타버스 확산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도 단발성에 그치지 않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조언한다.

우운택 KAIST 문화기술대학원 교수는 “메타버스의 기본 속성은 현실과 가상의 융합인데 메타버스 교육이 단지 유행에 편승하거나 일회성으로 이뤄지는 측면이 있다“면서 “예산 확보 용도가 아닌 메타버스의 특징을 살려 가상공간에서 많은 사람들이 지속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부산=조원진 기자 ·강도림 기자 ·전국 종합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