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스마트TV 제공 교육·엔터 앱, 2년만에 50% 증가”…팬데믹이 바꾼 TV시청법

LG전자 웹OS 기반 콘텐츠, 21년말 기준 2000개 초과

2년만에 교육·엔터 관련 콘텐츠 50% 증가하기도

“다양한 시청 수요에 맞춰 콘텐츠 확대…차별화된 시청경험 제공”

LG 올레드 TV 사용자가 TV에 탑재된 영상 스트리밍 플랫폼 라이브나우(LIVENOW)로 유명 가수의 콘서트를 즐기고 있다./사진제공=LG전자LG 올레드 TV 사용자가 TV에 탑재된 영상 스트리밍 플랫폼 라이브나우(LIVENOW)로 유명 가수의 콘서트를 즐기고 있다./사진제공=LG전자





LG전자가 독자 소프트웨어 플랫폼 webOS(웹OS) 기반의 스마트 TV에 시청자 취향을 고려한 콘텐츠를 대폭 확대한다. 팬데믹 이후 TV를 동영상 강의 시청이나 비대면 교육에 활용하는 수요가 늘어난 점을 고려해 교육과 엔터테인먼트 앱이 크게 늘어난다.

관련기사



21일 LG전자에 따르면 LG 스마트 TV를 통해 전 세계에 제공하고 있는 앱 수는 지난해 2000개를 넘어섰다. 2019년 말과 비교하면 앱 규모가 30% 이상 늘어났다. 특히 LG전자는 이 기간 교육 및 엔터테인먼트 앱 개수를 50% 가까이 늘렸다. 팬데믹 이후 TV를 OTT 시청이나 비대면 교육에 활용하는 수요를 반영한 결과라고 LG전자는 설명했다. 대표적 사례로는 지난해 론칭한 교육 콘텐츠 구독 서비스 하이브로(Highbrow), 댄스 강습 플랫폼 원밀리언홈댄스(1M HomeDance), 영상 스트리밍 플랫폼 라이브나우(LIVENow) 등이 있다.

또 LG전자는 TV 업계 최초로 제공을 시작한 엔비디아 지포스나우(GeForce NOW)를 포함, 구글 스타디아(Stadia) 등 게이머들을 위한 다양한 클라우드 게임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미국에서는 고령자들을 위한 원격 의료·돌봄서비스 인디펜다(Independa) 앱을 제공하며 북미와 유럽 주요 국가에서는 홈트레이닝 플랫폼 펠로톤(Peloton) 앱을 선보이는 등 사용자의 TV 시청경험을 지속 확장하고 있다.

이처럼 LG전자가 스마트 TV에 사용자의 다양한 라이프스타일을 반영하는 배경은 빠르게 변하는 TV의 역할에 있다. LG전자가 자체 분석한 사용자 시청 데이터에 따르면 TV로 방송 시청이 아닌 스마트 콘텐츠를 사용하는 빈도는 팬데믹 이전과 비교해 두 자릿수 이상 증가했다. LG전자는 F.U.N(First·앞선, Unique·독특한, New·새로운) 관점에서 고객경험(CX) 혁신을 주도하고 있다. TV에서는 차별화된 화질은 물론이고 다양한 고객들의 취향과 사용성을 고려한 콘텐츠를 고도화하며 기존 시청경험을 넘어서는 새로운 고객경험을 제공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한편 LG전자는 스마트 TV 플랫폼인 웹OS의 차별화된 사용 편의성, 폭넓은 콘텐츠 지원 등을 앞세워 외부 TV 업체에도 웹OS 플랫폼을 공급하고 있다. LG전자는 지난해 초부터 웹OS TV 플랫폼 사업을 시작했는데, 공급 업체를 지난해 20여 곳에서 올해 100여 곳까지 대폭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정성현 LG전자 HE컨텐츠서비스담당은 “TV로 자신의 취향에 맞는 콘텐츠를 소비하는 고객들이 늘어나는 추세”라며 “고객 취향을 고려한 콘텐츠를 지속 탑재하며 차별화된 시청경험을 제공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수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