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청년희망적금' 선착순 논란에…文 "전원 가입"

출시 하루만에 계획 전면 수정

온라인 신청 폭주로 혼란 빚자

文대통령 "인원제한 없애겠다"

내달 4일까지 신청땐 가입 허용

이후엔 수요살펴 재개 결정키로

서울의 한 은행과 모바일 앱. 연합뉴스서울의 한 은행과 모바일 앱. 연합뉴스






정부가 다음 달 4일까지 신청자에 한해서 청년희망적금에 전원 가입할 수 있도록 계획을 수정했다. 한정된 예산 안에서 선착순으로 가입을 받겠다는 당초 조건을 적용하지 않기로 한 것이다. 연 10%대의 금리 효과로 청년희망적금에 대한 가입 신청이 예상보다 폭주하자 당국에서도 예산을 추가 배정하는 등 조정에 나섰다.

금융위원회는 이 같은 내용의 청년희망적금 운용 방안을 심의·의결했다고 22일 밝혔다. 운용 방안에 따르면 금융위는 최대한 많은 청년이 청년희망적금에 가입할 수 있도록 다음 달 4일까지 가입 요건을 충족한 청년이 가입할 수 있도록 변경했다. 이에 따라 25일까지는 출생 연도에 따른 5부제 방식으로 가입하고 이후 28일부터 3월 4일까지는 출생 연도와 무관하게 은행 영업일 운영 시간에 가입하면 된다. 단 3월 1일은 은행이 영업하지 않는 만큼 가입할 수 없다.



청년희망적금은 매월 50만 원 한도로 납입하는 만기 2년의 적금 상품이다. 가입 조건은 만 19~34세에 지난해 총급여가 3600만 원 이하인 청년이다. 은행별 기본 금리가 연 5%이고 최대 1%포인트 우대금리 및 비과세 혜택, 저축장려금까지 있어 사실상 연 10%짜리 적금에 가입하는 효과가 있다.

관련기사



높은 금리 효과에 청년층의 가입이 몰리면서 출시 하루 만에 운용 방식을 변경한 것이다. 문재인 대통령은 이날 국무회의에서 “가입 대상이 되는데도 지원 인원이 한정돼 가입하지 못하는 청년들이 없도록 하겠다”며 “청년들의 자산 형성에 도움이 되길 기대하며 어려운 시기를 건너고 있는 청년들에게 더 많은 기회와 희망을 드릴 수 있도록 끝까지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당초 금융위가 확보한 올해 청년희망적금 사업 예산은 456억 원이다. 가입자들이 모두 월 납입 한도액(50만 원)으로 가입했다고 가정하면 38만 명을 지원할 수 있는 규모다. 5대 시중은행에서 상품 출시 전 미리보기로 가입 여부를 확인한 인원만 약 200만 명이다. 금융위는 기획재정부와 협의해 예산을 확보하되 3월 4일 이후 가입 수요 등을 보고 추가 사업 재개 여부를 결정할 방침이다.

현장에서는 평소 예·적금에 관심이 없던 청년까지 청년희망적금 가입 문의가 쏟아지고 있다고 입을 모았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금리 상승 시기인 데다 코인·주식시장이 하락하면서 예상했던 것보다 상당히 많은 청년들의 가입이 이어지고 있다”며 “지금 분위기만 봐서는 청년층의 자산 형성 습관을 만들고자 했던 상품 취지에 부합하게 운영될 것으로 보인다”고 언급했다.

청년 고객을 확보하기 위한 은행 간 경쟁도 치열하다. 출시 초기 우대금리 0.5%포인트를 내걸었던 제주은행은 최근 1.0%포인트로 상향 조정했다. BNK경남은행도 청년희망적금 판매 은행에 추가돼 오는 28일부터 최고 5.5% 금리로 상품을 제공한다.


김지영 기자·윤경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